낯익은 타인들의 도시
최인호 지음 / 여백(여백미디어) / 2011년 5월
평점 :
절판


피땀 섞인 열정으로 탄생하게 된 작품을 단숨에 몰입해서 읽었다. 죄송스런 마음이 들 정도로 단 숨이 아닌가 싶지만 낯익은 타인들의 행동의 원인이 너무 궁금해 덮을 수가 없었다. 평행 이론을 떠올리게 하는 익숙한 내용이지만 의외의 전개와 결말이다.







 

K라는 인물이 3일 동안 최대의 위기를 맞게 되는데 그것은 전혀 위협적이지 않은 공간에서 느끼게 되는 두려움 때문이다. 가족이 낯설게 느껴지고 마침내 자기 자신까지 의심하게 되면서 그는 그의 일상을 무너뜨리는 출발점을 찾아 헤맨다. 
 

 

 

 

 

모호한 제목이 낯익게 느껴짐을 보니 눈먼 자들의 도시라는 작품의 제목과 굉장히 유사하기 때문인 듯싶었는데, 눈먼 자들의 도시가 실제로 작품 속에 잠깐 등장한다. K는 갑작스러운 지진과 같은 혼란의 원인을 찾고 있었던 중이었는데 그 원인은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는다. 눈먼 자들의 도시에서 왜 눈이 멀게 되었는지가 직접적 제시가 되지 않듯이 낯익은 타인들의 존재에 대한 원인이 구체적이지 않다. 익숙한 소재인데 어려운 철학 소설처럼 느껴져 과연 제대로 이해했을까 의구심이 들기도 하다.







 

K의 정신 자체가 붕괴되고 있는 것은 아닌가 생각이 들었다. 지겹고 똑같은 하루가 반복이 된다면 새로움을 추구하는 인간이 자기도 모르게 변화를 바라게 되고 그게 정신 이상으로 가게 된 것은 아닌지(책 속의 정상적 궤도를 벗어난 사회와 그 분위기를 보면 정말 그렇다고 해도 무리가 아니다.) 이런 식으로 예상했다가 뜻밖의 결말을 맞게 되어 무척 당황스러웠다.







 

K는 또 다른 자신(분신이지만 닮지 않은 K1)의 삶을 보게 되는데 놀랍게도 그는 그 곳에서 편안함을 얻는다. 그리고 눈을 뜨니 원래 K의 집이었다. 그의 일상은 여전히 낯설지만 그는 전혀 낯설게 받아들이지 않는다. 그리고 마침내 평범한 월요일, 평범함을 가장하고 그도 일상을 시작하지만 다시 낯선 인물들이 나타난다. 그런데 그들이 작별 인사를 그에게 그만 알아차릴 방법으로 보낸다. 그리고 K는 K1의 손을 잡으면서 두 사람이 합체된다. 그들의 이전 대화에서 보면 "죽게 되면 우리는 하나가 될까."(P334)에서처럼 그들이 죽음을 맞이하는 것은 아닌지? 책 마지막 발문에 실린 김연수 작가의 말을 보면







 

모든 것과 작별한 뒤에야 우리는 본래의 자신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것. 이 소설이 너무나 무겁게 읽히고, 그럼에도 머릿속에서 떠나지 않는 이유다.(P390)







 

이전의 나 자신과 작별하고 백지 같은 처음의 상태, 태초로 돌아가는 건가? 정말 잘 모르겠다. 난해하게 느껴져도, 투병 생활 중에도 독자를 압도할 작품을 선사한 작가의 노고가 정말 대단한 듯싶다. K는 일상에서 벗어나고 싶었을까 돌아가고 싶었을까. 여운이 많이 남는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