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스 함무라비
문유석 지음 / 문학동네 / 2016년 12월
평점 :
요즘처럼 뉴스에 판사, 변호사, 검사가 많이 나오고 주목을 받은 적이 언제일까. 어렵게 느껴지던 헌법도 다시 보게 됐다. 서점에는 헌법을 설명한 책도 여러권 등장했다. 전관예우나 검사와 얽힌 사회의 어두운 측면을 다룬 영화를 보면서 혀를 차기도 했지만, 요즘은 아니다.
그래도 판사하면 멀게 느껴진다. 재판장의 높은 곳에 법복을 입고 고고하게 위치한 그들에게 인간적인 면모는 별로 안 느껴진다.
문유석 판사라는 분이 있다. 현직 부장판사다. 신문에 쓰는 칼럼이 화제가 된다. 얼마전엔 세상의 부장들에게 일침을 날리셨다. 오픈 마인드고 편하게 다가가 얘기할 수 있을 것 같다.
그 분이 쓴 소설이다. 어릴 때 부터 책을 즐기셨다고 한다. 아마 소설도 많이 읽으신 것 같다. 캐릭터가 살아있다. 정의의 사도, 다혈질이고, 말량광이 같은 여자 판사가 나온다. 진중하고 사려깊은 선배 남자판사, 부하직원들을 잘 다독여주는 부장판사도 있다. 삼총사다. 캐릭터는 선명하지만 성역할에 따른 상투적 구도이긴하다.
부족한 부분은 구체적이고 다양한 사례와 설득력있는 전개가 커버하고 남는다. 느껴지는 무게감이 남다르다. 취재에 의한 기자나 소설가가 아닌 현직 부장판사가 직접 보고 듣고 겪은 일에 근거했기 때문이다.
자칫 딱딱해질 수 있는 법정 이야기이지만, 유쾌한 캐릭터와 의도적으로 가볍게 풀어나가고자한 저자의 노력으로 술술 읽힌다. 저자가 전달하려고 의도한 판사의 인간스러움과 고민이 느껴진다.
판사도 감정에 휘둘리고, 한계를 가진 인간이다. 개인적 성장과정에서의 아픔과 상처에 따라 감정적 흔들림이 있다. 그럴때 의식적으로 객관적이고자 스스로를 다잡는다. 한 사람의 인생과 목숨을 좌우하는 무거운 결정을 내리는 그들이다. 한계가 있는 인간으로써 진실을 판별하고 정확한 판단을 내리는 가에 대한 근본적인 고민을 에피소드 속에서 풀어놓는다.
그런 고민도 담다보니 의외로 책이 무겁다. 톡튀는 에피소드로 가볍게 시작하지만 뒤로 갈수록 점점 무거워진다. 인간의 자유의지에 대한 철학적 주제를 생각한다. 죄를 사회적 구조가 아니라 개인에게만 물을 수 있는지도 따져본다.
저자의 세심한 배려로 쉽게 시작해서 따라가다보면 큰 무리없이 판사의 고충을 마음에 담고 같이 생각해볼 수 있게 된다. 같이 웃고, 열받고, 고민하다 보면 그들이 더 가까워지고 피와 살을 가진 인간으로 느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