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 세상의 모든 것을 팝니다 - 아마존과 제프 베조스의 모든 것
브래드 스톤 지음, 야나 마키에이라 옮김 / 21세기북스 / 201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everything store를 표방하는 아마존의 탄생과 발전과정에 관한 책이다.


닷컴붐 속에서 인터넷서점으로 화려하게 출발한 아마존은 버블붕괴와 함께 찾아온 비지니스 지속성에 대한 의혹과 경쟁속에서 허우적거린다.


그러나 사업모델에 대한 뛰어난 이해력과 공격적인 실천력을 갖춘 창업자 베조스의 지휘아래 아마존 웹 서비스(AWS), 킨들, 최첨단 시스템을 갖춘 첨단기술회사로 거듭나는 스토리이다.


아마존이라는 20여년된 이 기업은 베조스의 분신이라고 할 정도로 그의 개성과 자취가 조직의 철학과 문화, 지향점에 있어 절대적인 영향력을 미친다.


책 서문에는 공립영재학교에 다니는'팀'이라는 아이의 영특함과 창의력, 독립적 사고 등에 감탄하는 내용이 나오는데, 베조스 이야기이다.


베조스는 다소 불우한 어린 시절을 겪었지만, 프린스턴 대학에서 공학을 전공했고, D.E.쇼 앤드 컴퍼니라는 퀀트 헤지펀드에서 일했다. 단순히 학교만 잘 나온게 아니라, 매우 뛰어난 이해력을 가졌다. 생소한 개념들과 기술에 대해 금방 이해하고 질문하며 익힐 정도로 똑똑했다고 한다.


베조스는 책과 자료, 그리고 사람들을 통해 아마존의 사업영역을 확장하고 및 비지니스 형태를 혁신하는 작업에 매우 능숙하다. 월마트을 보고 자신의 매장에 발전시켜 적용한 것이나, 애플의 아이팟 서비스를 보고 책시장의 미래를 깨닫고 킨들을 재빨리 탄생시키기도 한다. 때로는 엉뚱한 프로젝트도 런칭하고 돈을 투여해서 실패도 많

이 한다. 


베조스가 얄미운 점도 있다. 아마존은 내부 직원들에게 주차비를 받고, 식사비도 유료이다 (구글과 비교된다). 또한, 아마존이 잘 팔지못하는 기저기나 운동화에 특화된 웹사이트가 잘 나갈때 그들을 철저하게 응징하는 모습이 눈에 띤다. 그리고 킨들을 만들때 출판사들을 협력사로 본게 아니고, 낮은 가격을 나중에 일방적으로 통보하는 듯 무시하는 듯한 태도를 보인다.


아마존이 단순히 인터넷서점에서 품목을 넓힌 전자상거래 회사정도로 생각했었는데, 베조스의 지휘아래 많은 엔지니어들이 고용되어 전통 소매업에 IT기술과 수학 등을 접목시켜 효율성을 극대화시킨 기술회사라는 것을 알았다.


인터넷붐 속에서 많은 기업들이 탄생했지만, 변화가 극심한만큼 기존의 사업영역에만 머물경우 금방 시들어버리고 사라지는 경우가 다반사다. 하지만 베조스가 있는한 아마존은 끊임없이 사업영역을 확장하고, 뒤집고, 또 새로운 아이디어를 실험하며 세상을 놀라게할만한 일을 해낼 것 같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종이달 2021-10-04 03: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