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글로벌 투자 전쟁 - 글로벌 머니의 흐름을 지배하는 투자의 원칙
영주 닐슨 지음 / 비즈니스북스 / 2017년 5월
평점 :
절판
이미 많은 사람들이 직간접적으로 해외투자를 하고 있다. 국민연금도 해외투자 비중을 늘려나가고 있다. 개인들도 해외투자는 필수로 인식될만큼 활발하게 투자한다. 중국 펀드가 인기가 있었고, 수조원이 팔린 브라질 채권도 있었다.
지겨운 저금리와 저변동성을 보이는 국내에서 벗어나 높은 일드와 수익률은 매력적이다. 그런데 화려함에 비해 해외 투자가 쉬운 것도 아니다. 높은 수익률만 보고 들어갔다가 변동성에 맘고생하는 사례도 부지기수다. 거기에선 온갖 이론과 지식, 정보력, 자금력을 갖춘 글로벌 머니들과 함께 싸워야 한다. 이른바 글로벌 '쩐의 전쟁'에 참여하는 셈이다.
상대하는 대상들이 만만치가 않은 만큼 일단 잘 알아야 한다. 오랜기간동안 경험과 노하우를 쌓은 전문가를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해외투자는 한국에선 비교적 뒤늦게 대중화된 편이라 다방면에 체계적인 전문가가 많지는 않다.
그 점에서 닐슨 영주의 이 책이 나와서 반갑다. 유수의 글로벌 금융회사에서 필드에서 선수로 맹활약했던 그녀는 전작인 <서울에서 월스트리트에서>에서 경험담을 풀어놓는다. 그 신비한(?) 곳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한국인, 여성의 입장에서 한국어로 듣는 기회가 흔치는 않다. 그 책도 재밌게 읽었던 터라 신간이 나온다고 했을때 어떤 이야기를 들려줄지 기대감이 컸다.
전작이 자신의 값진 에피소드를 드라마나 꽁트로 보여줬다면, 이번엔 웃음기 뺀 강의다. 분산투자 관점에서 왜 해외투자를 해야되는지 필요성을 강조하는 부분에서 시작한다. 금융의 기본이라고 할 시간가치와 채권부터 주식, 외환, 파생상품, 원자재, 헷지펀드, 포트폴리오 구축, 투자심리학와 퀀트 투자까지 다룬다. 제발 이것 하나라도 더 알고 전쟁에 참여하라는 듯 잘 챙겨주려는 세심함이 느껴진다.
각 챕터에 현재 글로벌 금융회사에서 일하는 매니저들의 생생한 인터뷰들이 생동감을 더한다. 이러한 이론이 현실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 느껴볼 수 있다. 개인적으로는 헤지펀드 매니저들 인터뷰가 인상적이었다. 좋은 분석은 모자이크 이론에 근거한다는 점과 분석에서의 엣지는 현금흐름, 이익, 수익률 등을 추정하는 걸 넘어서 왜 이 회사에 대한 시장의 평가가 잘못됐는지 알아낸다는 얘기가 가슴에 남았다.
전체적으로 책을 보다보면 CFA 라는 자격증과 내용이 비슷하다. 물론 저자는 그걸 염두해 두고 이 책을 쓴건 아니라고 본다. 아마 쓰다보니 기초적인 내용이 겹치는 것일 뿐이다. 이 책도 그렇고 CFA 프로그램이 금융의 여러 기본적인 부분을 잘 담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물론 CFA는 더 방대한 내용을 담고 있지만, 글로벌 투자를 집행하는데 있에서 기본을 잘 적응해 나가는게 글로벌 머니들이 아닌가 싶다. 3년을 영어로 CFA를 공부하기에 너무 에너지 소모가 많고, 금융에 관심있는 많은 분들이 그 자격증을 딸 수 있는 것도 아니다. 내 생각엔 이 책을 충실히 잘 읽으면 CFA 기본소양과 관점을 갖출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