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하준의 경제학 강의 (반양장) - 지금 우리를 위한 새로운 경제학 교과서
장하준 지음, 김희정 옮김 / 부키 / 2014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문제를 이성적으로 풀고자 한다면 경제학적 사고방식은 기본이다. 개념을 설정하고 데이터를 만든다. 비용과 효용을 따지고 한계적인 영향도 따진다. 회귀분석이나 더 고급스러운 통계 모형도 돌려보고 상관관계도 분석한다.


그래서 서점 교양 경제학 코너에 가보면 먹고사는 문제인 경제 자체를 다루는 책보다도 인생의 문제들에 대해서도 경제학적으로 해설해주겠다는 책들도 넘쳐난다. 인생도 그럴진데, 국가적인 의사결정을 잘 하고 싶다면 경제학적 마인드가 필수적이다. 다리를 하나 놓는다던가, 복지를 얼만큼 해야할지, 세금을 얼만큼 거두고 어느 곳에 어떻게 써야할지 모두 경제학적 문제다.


그러나 현실에서 사람은 대체로 냉철한 이성의 저울질보다는 기분되는대로 결정한다. 어림잡는 계산으로 효용과 비용을 판단해서 행동한다. 국가적 의사결정은 흔히 정치적인 힘겨루기나 주고받기 등에 따라 결정되곤 한다. 심지어 객관적이여야 할 데이터나 통계도 정치적인 입맛에 따라 결정되기도 한다.


서양 학문의 모범인 '물리학' 행세를 하는 경제학은 실은 매우 정치적이고 주관적이다. 개념을 설정하고 데이터를 만들 때도 알게 모르게 이미 알고 있는 이론의 지배를 받는다. 하긴 물리학도 따지고 보면 어떤 실험 데이터 측정한다는 행위 자체가 이미 특정 이론을 염두해둔 작업이다. 또한 물리학도 패러다임을 두고 훈구파와 신진파가 엎치락뒤치락 거리면서 발전한다고 하니 경제학이야 그러려니 한다.


<장하준의 경제학 강의>는 영어원제인 <경제학 사용설명서>가 더 적절한 제목 같다. 수많은 오해와 권위들로 둘러 쌓인 경제학을 일반인 입장에서 어떻게 이해해서 사용해야 하는지 일러준다. 경제학에 대한 심리적 장벽을 낮추는 것부터 시작하여 자본주의의 간략한 역사, 여러 경제학 학파들에 대한 명쾌한 소개와 깔끔한 비교는 훌륭하다. GDP나 국제교역, 정부의 역할에 대한 설명도 알기 쉽게 되어 있다. 주류경제학에서 소홀한 생산, 노동, 산업정책에 대한 강조가 좋았다. 장하준 교수 특유의 색채가 들어가 있는 부분이다.


현실은 감정과 정치, 알력다툼으로 점철되어 있는 곳이지만, 좋은 의사결정을 하려고 한다면 근거없는 낭설에 쉽게 휘말리지 말고 경제학, 또는 경제학적 사고방식이 필수적일 것이다. 


최근 트럼프나 브렉시트 같은 반세계화 현상을 지지하는 현상이 대표적이다. 자유무역이 양 국가에 이익이라는 것이 경제학이 내놓는 합리적 정답이다. 국민들이 먹고 살기 힘든 건 세계화보다는 불공정한 분배나 기계화 등에 더 많은 책임이 있다. 정치에선 남의 나라를 탓하는 것이 훨씬 선동적이고 잘 먹힌다. 어느정도는 분배 문제에서 촛점을 흐리려는 의도도 있을 것이다. 이럴때 국민들이 경제학이 더 친숙하다면 헛된 주장에 덜 현혹되고 올바른 선택과 주장을 할 수 있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