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핏 - 21세기 위대한 투자신화의 탄생
로저 로웬스타인 지음, 김기준 외 옮김, 최준철 감수 / 리더스북 / 2009년 10월
평점 :
절판


워런 버핏의 신화는 여전히 진행중이다. 단순히 한명의 투자자를 넘어서 미국 자본주의의 아이콘 중 하나가 됐다고 할까. 최근에는 <스노볼>이라는 평전이 나오기도 했다.


<천재들의 실패>를 쓴 저널리스트 로저 르웬스타인이 쓴 버핏 평전이다. 영어판이 2008년에 나온 것으로 되어 있으나 원래 1995년에 나온것 같다. 책에서도 90년대 중반 이야기로 끝맺고, 2008년도판 에필로그가 붙어있다.


버핏이 조부모, 부모 밑에서 어떤 성장과정을 겪었고, 어떻게 부를 일구었는지 그 과정을 보며 그동안 알고 있던 그의 훌륭한 면모를 재확인할 수 있었다. 독립적인 사고, 성실한 지적 노력과 용기, 일관성,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는 큰 베팅, 뉴잉글랜드의 직업 윤리의식을 존중하는 점, 쉼없는 독서(연례보고서, 경제경영 도서 등)


꾸준히 밀고나간 결과 세계 1,2위를 다투는 부자가 됐다. 여러 덕목 중에서도 꾸준함과 끈질김, 그리고 기다릴줄 알 수 있는 여유가 바탕이 되었다.


스승인 그레이엄의 전통적 가치투자방식(회계장부에서 나타나는 가치보다 낮은 가격에 사는 방식)에서 벗어나 무형의 가치(프랜차이즈나 독점력 같은 해자)에 주목하면서도 본래 가치투자의 원칙에서 벗어나지 않았다. 처음부터 끝까지 그는 가치와 가격을 비교했으며, 자신의 계산을 믿었다. 대중의 판단과 월스트리트의 수많은 전문가들의 의견에도 흔들리지 않았다.


그런 그도 몇번의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투자금액이 늘어나며 몇개의 투자조합을 운영하곤 했는데, 이해상충 문제로 SEC 조사를 받기도 했으나 특유의 진실성으로 헤쳐나갔고, 이브닝뉴스 신문사를 인수해서 경쟁사와 고소까지 가며 승리하기도 했다. 거래관계가 있던 살로먼브러더스에 87년에 크게 투자했는데, 불법채권 사건으로 회사가 망할 지경에 이르자 소방수로 나서 우여곡절 끝에 문제를 해결하기도 했다.


나는 이렇게 예외적인 인물들의 사생활도 궁금해 하는 편이다. 인간이란 대체로 한 부분이 뛰어나면 다른 부분에서는 부족하기 마련이다. 그래서 공적인 부분에 뛰어난 업적을 남기더라도 과연 사적 관계에서 온전하지 못한 경우가 많다. 버핏도 예외적이지는 않으나 사적 관계에서도 그렇게 나쁘지는 않았다. 아무래도 집에서 아이들과 와이프에게 좀 무심했다고 할까. 집에서도 계속 신문에 눈길을 주고 있으니 요즘으로치면 환영받지 못할 남자라고 할까.


어쨌든, 다시금 그가 왜 미국 자본주의의 아이콘으로 추앙받는지 생각해보자. 아마 자신만의 이익을 추구하기 보단 투자한 기업과 같이 성장하기를 바라며 투자기업에 충분한 자율성을 주고 존중했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어떤 주주든, CEO든 그의 투자금을 환영했다.


그리고 그는 어떤 주식이든 비싸게 사서 더비싸게 넘겨 이익을 얻고자하는 투자를 싫어했다(이른바 더 큰 바보 이론). 남들이 거들떠보지 않을때 도움의 손길을 내밀고, 가치를 인정해주는 일을 한 것이다. 


그리고 돈이 많다고 해서 옆길로 새지 않고, 소박한 생활방식을 바꾸지 않았다. 집도 예전에 살던 집 그대로이고, 여전히 운전도 스스로하고 체리콜라와 햄버거를 마신다. 그가 섬유업체인 버크셔헤더웨이를 샀던 것도 뉴잉글랜드적인 직업 윤리를 가지고 있던 경영진이 좋기 때문이였는데, 그런 미국의 초기 자본주의 가치관을 삶에서 보여주고 있는 것도 그가 지금의 위치를 가지는 큰 요인으로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