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성룡, 나라를 다시 만들 때가 되었나이다
송복 지음 / 시루 / 2014년 5월
평점 :
품절


류성룡은 왜 위대한가?


그는 명분이나 선입견에 치우치지 않고 객관적으로 현실을 파악해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시하고 실천했다. 당연하고 쉬운 말 같지만, 진정으로 이런 사람은 흔치 않다.

수많은 정보와 권위자들의 주장, 정치적 이해관계가 뒤섞여있는 당대에는 옳고 그름을 판단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역사가 흐르면 그때 누가 제대로 현실을 파악했다는게 드러난다.

임진왜란 때도 정치적 이해관계나 명분을 떨치지 못하고 무조건 명나라가 옳다고 생각하며 잘못된 판단과 결정을 내리는 인물이 많았다. 그래서 많은 백성들이 죽고 피해를 입었다. 리더 그룹의 잘못된 생각 하나가 수많은 백성들의 생명을 앗아갔다.

류성룡은 명나라를 무조건 옹호하지도 않았다. 그렇다고 무시한 것도 아니다. 조선을 구하러온 원군으로 존중하면서, 그들의 군량을 조달하기 위해 동분서주 했다. 명군의 전력과 의도를 객관적으로 파악했고 그들을 최대한 이용하고자 했다.

그당시 조선은 일찍이 율곡 이이가 '나라가 나리가 아니다'라고 할만큼 갖은 모순에 썩었고 백성들의 삶은 고달팠다. 그는 어려운 전시 상황에서 왜적뿐만 아니라 명군, 때로는 선조와 정치적 반대파와 싸우며 명군의 군량조달을 고민했다. 기득권 세력의 특권을 허무는 징집제도와 조세제도를 만들고 훈련도감을 정비하는 등 정책을 만들고 실천했다. 그는 외세에 의존하기 보다는 스스로 힘을 기르는 '자강'을 주장하고 실천하고자 했다.

그러나 임진왜란 이후 류성룡은 반대파에 의해 탄핵되고 고향에서 '피로 쓴 기록' 징비록을 남겼다. 그러나 조선은 얼마후 '삼전도의 치욕'을 겪고, 몇 백년 후에는 일본에 의해 한반도는 결국 일본 손에 넘어간다.

조정과 주류세력의 명나라 의존증으로 류성룡과 <징비록>은 가치에 비해 평가절하 되어 있었을 것이다. <징비록>이 일본에 건너가서 베스트셀러가 되었다는 점은 아이러니다. 조선이 <징비록>의 교훈을 깨닫지 못했는데, 일본이 자강하여 20세기에 조선을 병합하고 세계대전을 일으켰고, 지금까지도 기술 선진국으로 자리한다. 아베는 극우적 발언을 일삼고 있다. 오늘 징비록을 다시 읽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