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모든 순간의 인문학
한귀은 지음 / 한빛비즈 / 2013년 5월
평점 :
절판
모든 순간의 인문학
인문학 자체가 통섭의 학문이라 생각했는데 역발상을 하게 되는 <모든 순간의 인문학>책이다. 주로 사랑을 소재로 이야기가 나오고 이에 작가에 대한 생각이 공감이 되었다. 영화에서 나오는 이야기를 분석을 하는데 심리학적인 면에서 정말 여자들의 직감은 99%인 것같다.실생활에서 인문학적인 관점으로 생각해 볼 수있다는 점이 이색적이었고, 철학적인 관점에서도 절대적인가치 이것이 진정한 행복을 가져다주는가, 자아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었다. 작가는 삶의 목적은 행복이 아니라 성숙된 행복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철학이라고 하면 인문학을 떠오르곤 했는데 이 책을 읽고 나서 생각의 전환이 되었다. 인문학이답시고, 작가의 에피소드가 있고 상투적인 단어가 전혀없어 편안하게 읽혀짐은 읽음의 즐거움이다. 에피소드라 함은 어릴적 기억에 대해 도스토예프스키관점에서도 생각해보고, 여러 철학자들의 관점을 재해석하는데 공감이 되어서 마음속으로 맞장구쳤다. 보안이 필요한 현재에 탈자본주의생활에 대한 기억이 다르게 인식된다는 점이고, 기억의 시스템을 잘 다루어야 행복으로 의리로 사람답게 삶의 즐거움였음을 안다. ‘사랑’이라는 단어는 음악에서도 가사로 많이 나오지만 이 책에 초반부에 사랑에 관한 서적인가 싶을정도로 많이 나온다. 그 중 가장 기억에 나는것은 이상형에 대한 이야기인데 프로이트의 관점에서 봤을때 이상적 자아를 대체하기 위한것을 이상형이라고 하는데 이상형을 사랑보다는 예술작품으로 생각하는것은점은 현실적인 것같다. 물론 이상형을 만날 수 있겠지만 내가 생각했던 것과 다를 수 있고 어떤사람이나 완벽한 사람은 없다. 누구나 장단점이 있기 마련이고, 성숙된 사랑은 미켈란젤로현상인것이 일반적이다. 사랑에 대한 시력을 키우고 마음을 비우는것은 사랑뿐만 아니라 심신에도 안정되고 바쁜일상속 현대인에게 해주고 싶은말이다.
비주얼이 좋다라는 말은 자본주의의 속성에서 전제되어 있다. 그 틀에서 자연스레 다중매체에서 나오는 연예인을 동경하며 아름답다 멋지다라는 표현은 한마디로 비주얼이 좋다라고 하는데 단순히 외모지상주의보다는 그 사람에 대한 내적인 면모와 패션 가치등을 고려했을때 비주얼이 좋다라고 종합적인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좋아한다는 말은 무생물로 비유한다. 무생물에게 새로운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좋아함을 지속가능하도록 만들어야한다는 점이다. 나는 내가 좋아하는 것이 무엇일까 생각해 봤는데 아무리해도 떠오르지 않는다. 나를 제대로 알고, 자기개발이 필요한 것 같다.
책에서 언급하듯이 장기하 노래가 시대적 해석을 해준다는 것은 세련된 진화와 이 시대를 초월하는 인간상을 보여준다. 노래 가사가 정말 공감이 되고, 삶의 긍정을 불어주는 노래같다. 흥미로운 것같다.
쇼핑을 통해 결핍을 완전히 채워줄 수 없고, 오감을 키워야 한다. 술도 그렇고 모든 것이 적당해야한다. 정말 인간의 욕망을 드러내는 순간 용기가 필요하다. 책을 읽는 내내 감성을 자극했고,힐링된 느낌이었다. 주로 영화,드라마 이야기와 철학자의 말을 인용한 것을 믹스해서 다룬 내용이기에 스토리에 관해서는 삶을 다양하게 해석하는 안목이 생긴 것같다.
살면서 정말 자존감은 중요하다. 살아가는 이유이고, 윌리엄제임스 자존감의 공식이 있는데 내생각은 다르다. 자존감은 꼭 성공할 때 나오는게 아니라 평상시 자신에 대한 가치를 충족시킬수 있는 소소한 무언가를 했을때도 성취감을 느껴서 자존감이 상승할 수 있는것이다. 또한 극복하는 능력도 하나의 자존감상승한다고 볼 수있다.
자존감이란 마음의 살을 만져서 근육을 만드는 일이다라는 말은 정말 좋은말인 것같다.
할 일 너무 많을때 그것으로부터 탈피하고 싶을때 가 있는데 남들과 비교하면서 동기부여하는 경우 절대적인 가치에 대해 생각해봐야 한다.
어떤것이 진정한 행복인것인지 탁월한 선택과 집중이 필요할 것같다.
생활 속에서 인문학적 감성의 시너지 효과는 모든 것을 다양하게 해석하고,매력적으로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