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지막 선물 - 세상을 떠난 엄마가 남긴 열아홉 해의 생일선물과 삶의 의미
제너비브 킹스턴 지음, 박선영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24년 8월
평점 :
‘엄마’라는 단어가 주는 느낌은 푸근함, 안정감, 안락함, 따듯함과 함께 슬픔, 애잔함, 애틋함, 그리움을 동반한다.
이 책 속에는 이 모든 감정이 응축되어 있다.
나는 책을 펼치기 전 눈물샘 터질 각오를 단단히 하고 책을 펼쳤다.
“엄마가 죽고 그 분홍색 판지 상자는 내 방 한쪽에 내내 놓여있었다.
…
포장 겉면에는 엄마의 단정한 손 글씨로 적절한 때가 되기 전에는 열어보지 말라는 경고문이 적혀 있었다.
….
이제 상자에는 세 개의 물건만 남아있다.”
엄마는 딸이 서른 살이 되기까지 매해 돌아오는 생일과 입학과 졸업식, 운전면허취득일, 약혼, 결혼, 첫 아기 출산과 같은 특별한 날을 기념허는 선물과 편지들을 남긴다.
딸이 엄마 없이 성장하며 세상에 나가 어떤 중요한 문턱을 넘어 세상에 한 발짝씩 나아갈 때마다 축하해 주는 선물이다. 그 선물들은 죽어서도 딸의 인생과정에 함께 동참할 것이라는 엄마의 약속이자 애달픈 전언들인 것이다.
마치 성장소설과도 같은 이 회고록은 인생은 작별의 연속이라는 것과 작별함으로써 한 단계 더 성장해 나가는 과정을 우리에게 보여주는 것 같다. 엄마와 작별하고 아빠와 작별하고 오빠와 떨어져 지내고 거의 생명체처럼 여기는 집과 작별하고 그렇게 유년시절을 힘겹게 떠나보내고 온전히 작별한 후에야 저자는 독립된 자아로 홀로서기가 가능해졌다.
그리고 자신의 동반자에 대한 믿음과 확신을 얻게된다.
저자인 제너비브가 엄마를 일찍 여의고도 엄마에 대한 그리움은 있을지언정 결핍감에 대한 구절은 책 속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었다. 어떤 이들은 부모가 모두 생존해 있지만 아빠의 사랑 혹은 엄마의 사랑에 대한 결핍감을 느끼는데도 말이다.
프롤로그에 그녀에게 이제 세 개의 선물만 남아있다는 마지막 문장에 골이 띵했다. 아마도 제일 마지막 상자는 첫 출산일 것이라 예상되는데 그 시간을 저자는 어떠한 감동의 크기로 맞이할런지 감히 상상도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