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바람이 우리를 데려다 주겠지! - 터키편, End of Pacific Series
오소희 지음 / 에이지21 / 2007년 6월
평점 :
절판
20살 이후, 언젠가부터 나는 여행기를 다룬 책에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여행 관련 책을 보면-
우선 첫번째로 내가 아직 가보지 못한 곳들의 다양한 사진들을 접할 수 있고,
두번째로 특정지역에 대한 정보를 얻고, 그 곳의 느낌들을 필자를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난 단지 이 두가지 이유 때문에, 여행 관련 책들이 좋은거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하지만 그것 외에도 또 하나의 큰 이유가 있었고,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그 세번째 이유를 확실히 인지할 수 있었다.
보통 여행을 떠나면- 내 주위에 온통 나와 다른 사람들이 존재하는 곳에 서 있으면-
지난날 느끼지 못했던 자신의 모습이 오롯이 보인다고 한다.
어떤 꾸밈, 어떠한 겉치레도 없는 온전한 자기 자신의 모습과 마주할 수 있다고들 말한다.
여행기를 다룬 책들을 보면서, 그들이 여행을 통해 느낀- 세상의 이치와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 그리고 길을 걸으며 자연스레 알게 되는 자연의 섭리와, 이들과 관계된 인간 본연의 이야기까지...
작은 우물안에서 열심히 공부한다고만 해서 결코 느낄 수 없는 수많은 것들을-
여행책에서는 생생하게 풀어내 주고 있는 것이다.
이번 책은 혼자만의 여행이 아닌, 엄마와 세살배기 어린 아들이 떠나는 말 그대로 1.5인의 여행기-
먼 타국 땅을 혼자서 여행하기에도 벅찰텐데, 어린 아이까지 데리고 다니려면 얼마나 힘들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아이와 함께 걷노라면, 보폭은 좁아지고 일정은 늘어지지만- 그렇게 느리게 걷지 않았다면 보지 못했을 것들을 발견할 수 있다. 버스에서 내려서 순식간에 사진 찍고 또다시 버스 타고 휘리릭 이동해버리는 패키지 여행은 중요 유적이나 명소, 유명한 건축물 등에만 관심을 갖는데 비해, 어린 아이와의 여행은 그것보다 더 작지만 아름다운 것들을 지나치지 않게 해주는 또 하나의 선물 같은 것이었다. 아이를 통해 보다 많은 것을 볼 수 있었던 것이다. 이쯤되니 아이와의 여행이 참 특별하고도 소중한 경험이 될 수 있겠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다.
아이 또한 어려서부터 보다 큰 세상을 몸으로 직접 느끼고, 수많은 사람들을 만나면서 또래 아이들에 비해 훨씬 넓은 감성을 가질 수 있게 되는 것 같다.
혼자가 아닌, 친구나 연인과 함께 하는 것이 아닌, 어른과 아이의 1.5인의 여행기-
완벽하지 못한 1.5인이라는 숫자가, 완벽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 나머지를 서로 채워주면서 더 아름답게 빛을 발하는 것만 같다. 어른은 아이의 길잡이가 되어주고, 아이는 어른에게 또 다른 세상을 보는 눈을 선사하니, 이처럼 완벽한 조화가 또 있을까-
이 아름다운 모자를 통해 들은 터키여행기와 여행하면서 만난 수많은 사람들의 이야기도 무척 인상적이었다.
사심없이 정말 순수하게 여행자를 위해 차를 권하는 상점가 사람들. 터키 시골 마을에서 올려다본 별들이 가득한 밤하늘. 자신의- 새로운 두번째 인생을 위해 길을 떠난 사람들. 무엇보다 자연과 함께 숨쉬고 공존하는 올림포스에서의 이야기 등...
나도 언젠가 터키를 방문하게 된다면, 꼭 한번 찾아가 보고 싶은 곳이 올림포스가 되어버렸다.
그 때 쯤이면, 오렌지 과수원의 잘 지어진 방갈로들이 손님들로 가득 차 있을지도...(웃음)
책의 말미에 적힌, 아랍으로 떠났다는 이들 모자-
그곳에서는 또 어떤 기억들을 만들어 가고 있을까...
좀 더 자란 중빈이와, 여전히 멋진 엄마일 오소희씨의 새로운 이야기가 기다려진다. :)
인상깊은 구절
나는 여행이라는 스승을 통해, 삶에 대해 더 낮아질 것을 배운다. 엎드려 고개를 숙이면 더 많은 것이 보이는 것이다. 지독하게 여행을 떠나고 싶어질 때는 언제나 더 이상 내가 나를 낮추고 있지 않을 때였고, 스스로 그 직립이 피로할 때였고, 피로함으로 인해 아무것도 보지 못하고 있을 때였다. -p.57
한 사람의 생의 내용이 항상 같다면 그 사람의 삶은 죽은 것과 같은 걸거예요. 우리의 변화, 그 변화를 초래한 애초의 결심, 행동, 이런 것들이 결국 오랜 시간이 지나면 우리의 삶을 풍성하게 했다는 것을 깨달을 때가 오겠죠... -p.229~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