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호로 역 다다 심부름집 - 제135회 나오키 상 수상작
미우라 시온 지음, 권남희 옮김 / 들녘 / 2007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마호로역 다다 심부름집-
표지위에 그려진 만화같은 그림체- 치와와 한마리와 창문에 금이 간 트럭이 궁금증을 유발했다. 또한 나오키상 수상작이라는 것도 책을 고르는데 한몫했다. 고교동창 다다와 교텐이 이 책의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다다가 꾸린 심부름집- 심부름센터와는 조금 다른 느낌의 심부름집- 

버스정류장에서 우연히 교텐을 만나면서 본격적인 이야기가 시작된다. 어린 시절 말이 없던 교텐- 공부도 곧잘 하고 여자아이들에게 인기 있을정도로 외모도 반반했다는데, 이상하게도 말이 없던... 어느날 다다가 우연히 걸었던 장난으로 인해, 교텐은 지울 수 없는 아픔을 겪게 된다. 흉터로 남아 있는 그날의 기억... 교텐은 모른척 했지만, 다다는 그에게 남아있는 상흔을 볼 때마다 미안한 마음에 괴롭기만 하다.
오랫만에 만난 교텐은 그때와 너무도 많이 달라져 있었다. 말도 많아졌고 넉살도 좋아졌다.
이렇게 두 사람은 싫든 좋든 동거를 시작하고 심부름집에 들어오는 일들을 하나 둘 같이 하기 시작했다. 

그런건 당신이 해도 되잖아- 라는 소리가 나올법한 자잘한 일부터 시작해서, 몇 일씩 걸리는 창고정리 같은 의뢰까지...다양한 일들을 처리하는 과정을 지켜보며 다다와 교텐이라는 캐릭터에 대해서도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었다. 또한 이들이 가지고 있던 조금은 깊숙한 곳의 이야기들도 듣게 된다.
이들 역시 몇날, 몇달을 함께 하면서 서로에 대해 조금씩 알아갔겠지-
다다의 복잡한 감정 때문에 교텐과 잠시 떨어져 있기도 하지만, 이내 친구녀석이 궁금해지는 다다. 그가 제멋대로 주문한 가도마쓰를 보며 툴툴대기도 하지만...(웃음)
다다가 오랫동안 가지고 있던 엉킨 실타래가 하나의 심부름을 통해 조금씩 풀리기 시작하고, 그 날 저녁- 교텐을 만났던 버스 정류장 벤치에서 다시 한번 교텐을 찾게 된다.

다다는 "다다 심부름집에서 지금 아르바이트할 사람을 구해." 라는 말로 은근히 교텐에게 다시 들어와도 좋다는 뜻을 내비친다. 그렇게 둘은 다시 트럭에 올랐다.
마호로역 다다 심부름집으로 돌아가는 두 사람의 마음은 그 여느 때보다도 평온하지 않았을까. 다다의 마지막 독백에서 그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행복은 재생된다고.
행복은 모양을 바꾸어 가며 다양한 모습으로 그것을 원하는 사람들에게 몇 번이고 살그머니 찾아온다고. 

책의 마지막 장을 덮은 후에 다시 한번 표지를 보았다. 치와와 한마리와 창문에 금이 간 트럭을 보니 새록새록 다다와 교텐의 이야기가 떠오른다. 자세히 보니 막대사탕 세 개도 보인다.

책을 읽는 내내 다다와 교텐의 모습을 상상했었다. 책과 함께 온 파란색 손수건에 그려진 일러스트를 보며 웃음 지을 수 밖에 없었다. 다다와 교텐- 내가 생각했던 이미지와 무척이나 닮은 두 사람이 거기에 있었다.(웃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