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목시계의 교양 - 내 손목에 있는 반려도구의 인문학
시노다 데쓰오 지음, 류두진 옮김 / 한빛비즈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안경과 마찬가지로, 처음 착용하면 이물감이 들지만 익숙해지면 더할 나위 없이 편한 물건. 착용하다가 착용하지 않으면 대단히 허전한게 손목시계 이다.

일반적으로 손목시계는 자기가 주로 쓰는 손의 반대편에 착용한다.

원래는 자주 사용하는 손으로 주요 업무를 보면서 다른 손으로 시간을 확인하기 위해서였지만 컴퓨터나 휴대전화를 포함해서 웬만한 업무공간에는 시선 닿는곳마다 시계가 널려있는 현대에 들어서도 이게 관습 내지는 습관으로 굳어진 것이다.

자기가 편하다면야 주로 쓰는 손 손목에 착용해도 상관없다.

반지와 마찬가지로 손목시계도 너무 오래 차고 다니면 나중엔 팔이 햇빛에 타도 시계를 찼던 그 자리는 하얗게 유지되어 있고, 착용한 쪽의 손목 둘레도 약간 가늘어지는 경향이 있다.

옛날에는 시계탑이 시간 알리미의 역할을 했으나 이동 중이거나 시계탑이 없는 곳에서는 시간을 알 수 없었기 때문에 시계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15세기 말엽 금속태엽이 발명되어 시계의 동력으로 자리잡았고 그후 유사(遊絲:hair spring)·균형차(balance wheel) 등이 발명되어 소형화가 가능해져 휴대가 가능한 회중시계가 나온 뒤 점차적으로 손목시계로 발전하게 되었다.

이 책은 인류가 시계를 발명한 고대부터 오늘날의 스마트폰 시대까지 ‘시간을 다룬 도구의 시간사’를 소개한다.

또한 시계의 브랜드 가치나 가격 등 외형적인 것이 아니라 시계와 시간을 둘러싼 문화와 그에 얽힌 사람들, 그리고 시계 기술과 명품의 진가를 알아볼 수 있는 정보와 감상법까지 ‘교양으로서의 시계’를 이야기한다.

이 책을 읽는내내 시계에 얽힌 역사, 문화 이야기도 함께 있어서 흥미로웠고 시계에 얽힌 인문학 책이라 더 좋았다.

📚책 속으로:

소비자가 선호하는 상품을 잘 팔리는 가격에 제조하려면 우선 기능과 비용을 중시하고 이를 위한 디자인을 고려해야 한다.

여기서 ‘Form follows function(형태는 기능을 따른다)’이라는 ‘기능미’ 개념이 생겨났다. 단순하고 단정한 케이스 형태와 가시성 좋은 표시 등 모든 것 이 이 이론을 따른다.

#손목시계의교양 #추천책 #시노다데쓰오 #한빛비즈 #교양인문학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