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자는 숲속의 소녀들 - 신경학자가 쓴 불가사의한 질병들에 관한 이야기
수잰 오설리번 지음, 서진희 옮김 / 한겨레출판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때로 질병은, 우리가 선택한 삶이 우리 자신에게 맞지 않는다는 신호가 된다.”

설명할 수 없는 고통과 질병은 병원을 찾아다니며 치료하려는 이들에게는 상당히 고통스러운 일이다.

우린 원인을 알 수 없는 두통과 복통, 이명 등을 겪으며 병원을 찾지만, 의사들에게서 돌아오는 말들은 스트레스일 수 있다는 말들 뿐이다.

사람의 마음이나 감정에서 기인한다는 심인성 장애 혹은 기능성 장애에 대한 탐구에 관한 기록인 이 책은 영국의 저명한 신경과 의사인 수잰 오설리번에 의해 씌어졌다.

스웨덴 난민으로 온 아이 수백명이 수년째 깨어나지 못한다는 소식을 듣고 찾아간 저자는 그 원인을 찾아나선다.

건강한 사람이 왜 혼수상태에서 깨어나지 못하는 것인가? 신경 경로는 정상인데 다리가 마비되거나, 환각을 보고 발작을 일으키는 원인은 무엇일까?

모든 몸의 기관은 마음과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잘 알려주는 저자는, 심리적 스트레스가 실제 병으로 나타나는 심인성 장애에 관해 여러 사례를 통해 우리에게 보여준다.

실제 한국인이들에게서 많이 볼 수 있는 화병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으며, 그 외에도 과민성 대장증후군이나 가슴 통증, 숨 가쁨, 현기증, 혼수상태 등 이 모든 것들이 그것에 해당된다.

스웨덴에 도착한 난민 아이들이 깨어나지 못하는
이유도 체념증후군을 겪은 것으로 기대와 실망을 반복해서 겪은 결과로 보인다는 것이다.

질병과 건강은 단순히 보여지는 증상만으로 파악할 수 없으며, 우리 뇌에 내재화되고 학습화된 모든 것들의 서사를 통해 알 수 있다.

질병으로 고통받는 이들이 적절한 서사에 대한 해석 없이 적극적인 치료를 받지 못하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고, 진짜 치료를 해야할 시점이다.

📚 책 속으로 :

기능성 신경장애는 뇌의 코딩 오류다. 이는 행동 변화에 대한 신경 회로의 잘못된 반응이다. 이런 반응을 유발하는 계기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이중 일부만 심리적인 고통과 관련된다.

그것은 상해나 질병, 잘못된 의학적 믿음, 고난, 갈등, 전염성 있는 불안 등에 대한 반응일 수 있다. 장애는 학습과 유사한 과정을 통해 발달한다. 하지만 프로그램이 설정된 뇌는 다시 그 설정이 지워질 수도 있으며, 따라서 절대 돌이킬 수 없는 과정이 아니다.

#잠자는숲속의소녀들 #수잰오설리번 #한겨레출판 #하니포터 #하니포터4기_잠자는숲속의소녀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