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감하는 유전자 - 삶의 방향을 바꾸는 인간의 생물학적 본성에 대하여
요아힘 바우어 지음, 장윤경 옮김 / 매일경제신문사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삶의 방향을 바꾸는 인간의 생물학적 본성에 대하여

우리는 지금 인류가 저지른 대가를 혹독하게 치르고 있다. 전쟁, 가난, 혐오, 파괴, 기후 위기, 코로나 팬데믹에 이르기까지.

자기밖에 모르는 인간은 저만 살겠다고 우리 공동체를, 그리고 지구촌을 엉망으로 만들어 놨다. 인간은 ‘이기적 존재’라는 명제가 이 모든 행위를 가능하게 했다.

앞으로 인류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 인간은 정말 이기적이고 파괴적인 본성을 지닌 존재일까? 인류 그리고 지구의 미래는 정말 희망이 없는 것일까?

필자의 개인적인 철학 사고를 갖고 말하면, 이타(利他)의 이면에 있는 진짜 이유가 이기(利己)라면 그것은 진정한 이타가 아니다.

진정한 이타가 아니면 자비심이라고 할 수 없다. 그러나 만약 이기적인 요소가 없이 오로지 이타를 말하면 왜 이렇게까지 해야 하는지에 대한 동기를 찾을 수 없다.

그러나 우리를 곤경에 빠지게 하는 이 전체적인 사유는 ‘남과 나를 구분하는’ 구조에 기반하고 있다.

이것은 ‘나는 나이고, 너는 너이며, 나를 위하는 것은 너를 위하는 것이 아니고, 너를 위하는 것은 나를 위하는 것이 아니며, 두 가지는 완전히 구분된 개체이다.’라는 구조이다.

이 구조 자체가 수렁에 빠지게 하는 관건이며, 우리에게 합리적인 해답을 찾기 어렵게 만든다.

가령 사람이 일을 처리하는 동력이 이기에 있다면, 이타적인 행위의 동력도 당연히 이기에 있지만, 이기를 출발점으로 하는 이타는 진정한 이타가 아니다. 이러한 사유 구조에서는 단순한 이타적인 행위는 불가능하게 된다.

마음에 남과 나를 구분하는 이러한 사유 구조를 가지고 있는 한 이 모순을 해결할 수 없다.

이 모순을 해결하려면 반드시 먼저 이기와 이타의 절대적인 구분을 없애야 한다. 그것을 없앨 수 있어야 이 사유의 늪에서 필사적으로 벗어날 길을 찾고 어리석음[無明]에서 깨어나 이 모순을 없앨 수 있다.

이 책의 저자 #요아힘바우어 에 따르면, 우리 인간의 유전자는 의미 있고 인간 친화적이며 사회적 태도에 반응한다. 환경적 요소와 생활 방식에도 반응한다.

따라서 가치 중심적이고 공동의 삶을 지향하는 내면의 태도는 우리에게 이로운 유전자 활동을 이끌어내며, 그로 인해 우리가 건강하고 ‘좋은 삶’을 살 수 있도록 돕는다고 한다.

리처드 도킨슨의 《이기적 유전자》에게 대적할 이 책을 모두에게 일독하기를 권하고 싶다.

📚 책 속으로:

인간의 모든 행동은 무의식적으로 공명을 찾는 행위다. 아이들은 각자 지극히 다른 행위를 드러낸다. 방어적이거나 공격적인 행동 또한 무의식적인 호소인 경우가 빈번하다.

반응이 돌아오지 않는 세계는 우리를 무감각하게 또는 우울하게 만들며 공격적인 성향을 키운다. 그러면 결국 중독될 만한 것을 찾아서 의지하게 될 수도 있다.

아동과 청소년들은 자신의 행위에 대해 아무런 공명도 받지 못하면 몸을 돌리고 만다. 그렇게 공명이 결핍된 틈 사이로 소셜 미디어나 그 외에 인터넷 세계가 제공하는 다른 무언가가 밀려들어온다.

#공감하는유전자 #매일경제신문사 #인문학 #교양철학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