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식적으로 상식을 배우는 법 - 당당한 교양인으로 살기 위한
제바스티안 클루스만 지음, 이지윤 옮김 / 한빛비즈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Besserwissen mit dem Besserwisser

‘죄송하지만 제가 잘 몰라서 그러는데요…’ 어른씩이나 돼서 뭘 모르는 게 부끄럽고 죄송한 일이 되는 사회다.

모르는 걸 묻거나, 모르는 걸 모른다고 하면 ‘그것도 모느냐’며 상식 없는 사람 취급한다.

죄송하지 않으려면, 상식 없는 사람이 되지 않으려면 조용히 입 다물고 있거나 남몰래 포털사이트를 뒤져 정보를 찾는 수밖에 없다.

수많은 정보를 손에 쥐어도 이게 뭔 소리고 저게 뭔 뜻인지 이해할 수 없다. 애초에 보고 들은 게 없으니 당연한 일이다.

다른 사람은 아는 것을 나만 모르는 것 같아 ‘물어보기 부끄러워 묻지 못한’ 사람도 분명 존재할 것이다.

그런 사람들을 위해 이 책은 유럽 전체 퀴즈 대회 우승자이자 인기 강사인 #제바스티안클루스만 가 쉽게 쓴 책이다.

그는 검색 엔진 시대에 상식이란 무엇인지 정의하고 단순한 사실을 알고 있어야 할 이유를 일목요연하게 주장한다.

예컨대, 일반교양을 잘 쌓은 사람은 어디에나 어울릴 수 있다. 무엇보다 상대의 마음을 열 수 있다. 사람을 알고 사귀는 데 있어 지식은 나의 호의성, 적극성, 개방성을 드러내며 때로는 상대에게 자신의 문화를 존중받는다는 느낌까지 줄 수 있어 좋은 인상을 심어준다.

저자는 비상한 기억력과 단순 암기에 그 비결이 있다고 말하지 않는다. 그보다는 일상 생활 속 주변 환경과 상황에서 지식을 뽑아내고 새롭게 안 사실을 제대로 체득할 수 있다고 말한다.

앞으로 살아가며 마주하게 될 여러가지 상식과 관련된 상황에서 조금이나마 이 책이 도움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시간을 아껴 쓰는 부지런한 사람들에게 이 책을 추천하고 싶다.

출퇴근길에, 화장실에서 볼일 볼 때 등등, 스마트폰으로 정신 사납고 불필요한 정보들을 클릭하는 대신, 짧지만 강력한 지식으로 무장한 이 책을 펼쳐보면 어떨까.

📚 책속으로:

상식 시험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이 비단 지원자들의 상식 수준만은 아니다. 상식은 배우는 자세와 새로운 경험에 대한 개방성을 가늠하는 척도이기도 하다.

학교 시험은 벼락치기로 높은 점수를 받을 수도 있지만, 상식 시험은 광범위한 분야에서 출제되므로 오랜 시간 차곡차곡 배우고 공부한 사람만이 좋은 결과를 낼 수 있다.

#상식적으로상식을배우는법 #한빛비즈 #자기계발 #성공학 #상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