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애거서 크리스티 읽기 - 역사가가 찾은 16가지 단서
설혜심 지음 / 휴머니스트 / 2021년 8월
평점 :
명실공히 ‘추리소설의 여왕’ 애거사 크리스티.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 『오리엔트 특급 살인』, 『애크로이드 살인사건』, 『쥐덫』, 『검찰 측의 증인』 등 크리스티의 작품은 사후 40여 년이 훌쩍 지난 현재까지도 전 세계적으로 널리 읽히고 있으며 꾸준히 영화, 드라마, 연극 등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추리소설의 황금기를 연 ‘추리소설의 여왕’, ‘독살의 여왕’ 애거서 크리스티의 작품을 역사가의 눈으로 읽으면 무엇이 보일까?
이 책은 역사학자 설혜심이 애거서 크리스티의 작품 곳곳에 숨어 있는 16가지 단서를 통해 푸아로와 마플이 거리를 누비던 시대로 우리를 데려간다.
역사가만이 들려줄 수 있는 범인을 찾아내고 작품을 이해할 사회·문화적 단서들.
더욱 깊고 넓고 예리한 시각으로 애거서 크리스티의 작품을 읽는 흥분과 짜릿함을 더한다.
애거서 크리스티가 묘사하는 시체는 피가 닦여 나가고 시취가 지워져서 도자기처럼 건조하다.
이는 크리스티의 추리소설이 최고로 ‘세련’되고 게임성을 극대화한 추리소설이라는 증거다.
‘시체’를 ‘수수께끼의 기호’로서 철저하게 추상화하고, 논리 게임에 방해가 되므로 공들인 살해 수법은 배제한다.
추리소설이라는 게임을 하기 위해서는 ‘누군가가 죽기만 하면 되니까’ 급소를 쏘거나 찌르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시체’는 수수께끼를 만들면서 발생하는 부산물에 지나지 않는다.
애거서 작품 속 차별과 편견의 요소들에서 보이는 여성해방주의자인 듯하면서 여성혐오적이고, 자본주의의 폐해를 비판하면서도 돈을 좋아하고, 코즈모폴리턴을 표방하면서도 지독한 영국우월주의자인 모습 등도 놓치지 않는다.
이 책은 #애거사_크리스티 에게 흥미를 가지고 있는 추리소설 팬뿐만 아니라, 이미 크리스티 작품을 읽은 독자에게도 작품 감상의 새로운 관점을 제시할 것이다.
덧붙여, 추리소설 독자라면 이 책 자체만으로도 충분히 읽을거리로서의 재미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 책속으로:
애거서의 작품에는 유달리 집이 많이 나온다. 스타일즈, 할로, 침 니스, 엔드하우스처럼 아예 제목에 집을 내세운 작품도 많고, 살인의 동기를 찾을 때도 집을 물려받고자 하는 욕망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애거서의 자서전은 어린 시절을 보낸 집 ‘애슈필드’로 시작해서 애슈필드로 끝맺으며 집에 관련된 내용을 아주 많이 담고 있다. 사실 애거서는 오늘날의 기준에서 볼 때 ‘부동산 투기꾼’이 라고 불러도 좋을 만큼 집을 많이 사고팔았던 사람이다.
P.S :출판사로부터 해당도서를 지원받아서 작성한 서평입니다.
#애거서크리스티읽기 #설혜심 #휴머니스트 #인문학 #유럽사 #역사 #컬처블룸 #컬처블룸리뷰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