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절망의 죽음과 자본주의의 미래
앤 케이스.앵거스 디턴 지음, 이진원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21년 7월
평점 :
✅ 가난을 거꾸로 하면 난가.. 중년의 삶은 어떻게 비극으로 내몰리는가..
국내외에서 로봇 및 값싼 노동력과 벌여야 하는 경쟁 때문에 자본주의는 필자 같은 블루칼라의 삶을 추락시키고 있다.
그들은 사망통지서에 적혀 있지 않은 알약, 술, 총 등으로 하나둘씩 외롭게 죽어간다. 두 명의 저자는 남성들이 약물 과다복용, 알코올성 간질환, 자살 등으로 죽어가고 있다고 말한다.
현재 한국은 미국처럼 심각한 약물과 술로 인한 사망률이 올라가고 있지는 않지만, 자살로 인한 사망자 수는 위험한 수준에 이르러 있다.
주지하다시피, 한국은 세계에서 자살률이 가장 높은 나라 중 하나이다. 2016년 자살률은 10만 명당 25.8명으로 OECD 국가 중 1위를 차지했다.
한국은 전 세계 역사상 가장 놀라운 변화와 경제 성장을 이뤄낸 국가지만 그런 변화의 이면에서 사람들은 ‘사회적 안식처(social moorings)’로부터 단절되고 있을 수 있다.
이 책에서 저자들은 이런 문제가 생기는 원인을 노동자 지위의 약화, 기업이 가진 힘의 증가, 그리고 부유층에게 노동계급의 임금을 재분배하는 의료 분야에서 찾는다.
절망감, 박탈감, 삶에 대한 의미 상실, 미래에 대해 기대할 수 없는 상황, 소외감이 이들을 죽음으로 이끌었다.
저자는 이 비극의 참상을 각종 통계 자료를 바탕으로 세세하게 보여주는데,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가 절망사를 초래하는 근본 원인을 찾아간다. 즉, 절망사의 ‘원인의 원인’으로 파고든다.
관심받지 못한 사람들의 죽음을 세상에 드러냈다는 점과 더불어 죽음의 원인을 정교하게 분석했다는 데 이 책의 미덕이 있다.
심층 원인에 대한 분석은 자본주의 시스템, 사회 구조에 대한 해부로 나아가는데, 경제학 연구방법론에 큰 영향을 끼친 앵거스 디턴과 보건경제학 분야에서 다수의 상을 수상한 앤 케이스는 소득 불평등·경기 침체 등 경제적 요소에서 절망사의 원인을 찾는 손쉬운 결론과 거리를 둔다.
불평등 등 경제적 요소가 끼친 영향을 배제해서는 안 되지만, 그게 왜 전부가 아닌지 하나하나 논증해간다. 동시에 사회적·문화적 요소를 중요하게 다룬다.
이 책은 방대한 내용만큼 여러 방면에서 해석할 수 있고, 오늘날 벌어지고 있는 사회 현상을 이해하는 통찰을 준다.
그중 하나로 이민자에 대한 혐오와 소수자에 대한 차별을 노골적으로 드러내는 분노한 백인들에 대한 보고서로 읽는 것이다.
평등으로의 이행을 억압으로 받아들이는 이들은 트럼피즘을 움직이는 축이었으며, 최근에는 의회를 침공하는 초유의 사태까지 일으켰다.
고통에 신음하다 결국 절망사에 이르는 이와 의회에 침입한 이는 어쩌면 다른 사람이 아니라 같은 사람의 두 얼굴일지 모른다.
마지막으로 인류의 역사는 ‘진화‘하는 방향으로 흘러왔다고 필자는 생각한다. 하지만 최근 자본주의 시대의 상황을 반추해보면, 양극화가 심해져 오히려 ‘퇴보‘하고 있는 사회로 흘러가고 있는 건 아닌가…
나중에 나의 후손들이 어떤 부분에서든 더 나은 사회에서 살아가길 바란다.
📚 책속으로:
교육은 분명 누가 무슨 이유로 죽는지를 이해하는 열쇠다. 동맥과 폐에서부터 머리, 간, 혈관 이상은 주로 대학을 다니지 못한 사람들의 사인이다.
우리가 이런 고졸 이하 학력자들이 감당해야 하는 추가적 위험을 이해하려면 사람들의 삶에서 교육이 하는 역할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P.S :출판사로부터 해당도서를 지원받아서 작성한 서평입니다.
#절망의죽음과자본주의의미래 #앵거스디턴 #앤케이스 #한국경제신문 #필독서 #경제정책 #컬처블룸 #컬처블룸리뷰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