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니’라고 말하고 싶을 때 읽는 대화법
이시하라 가즈코 지음, 오시연 옮김 / 밀리언서재 / 2021년 6월
평점 :
품절


“남의 부탁을 거절하면 나쁜 사람이 되는 것만 같다.”
“회사에서 서로 얼굴 보기도 불편해질 바에야 내가 참자고 생각한다.”
“사람들이 나를 보면 이래라 저래라 참견을 한마디씩 한다.”
“나 하나 양보하면 다들 행복할 거니 그냥 한다.”

이 중 하나라도 당신의 이야기처럼 들린다면, 당신은 남의 기분을 챙기느라 자신에겐 소홀했을 것이다.

그래놓고 불만족스러운 상황과 자괴감에 빠져 괴로워하고 있을지 모른다. 내가 나에게 소홀하면 남들도 그렇게 대한다.

쉽게 잔소리하고 쉽게 부탁하면서도 아무도 나에게 고마워하지 않는다. 우리가 인간관계에서 상처를 입는 이유는 ‘남 중심 선택’을 하기 때문이다.

나보다는, 주어진 상황이나 환경을 우선순위에 놓고 남을 먼저 배려하느라 내 마음이 다치는 것이다.

내 마음이 다치는 것을 무시하다 보면 남들도 나를 무시하고, 그렇게 다시 마음이 다치는 악순환에 빠질 수밖에 없다.

또한 평소에 남 눈치를 잘 보고 뭔가 내가 나서서 일을 처리해야 한다는 ‘빚을 지고 있는 사람’은 결코 거절할 줄을 모른다.

남들이 이래라저래라 간섭하기 만만하고 부탁하기에 편한 사람은 어딜 가나 항상 똑같은 상황을 겪는다.

“왜 나한테만 이런 일이 생기는 거야”라고 불평할지도 모르겠지만, 자신의 특정 기질을 바꾸지 않으면 환경이 변해도 매번 같은 일이 일어날 것이다.

반대로, 남들이 이래라저래라 하기 껄끄럽거나 부탁하기 어려운 사람들도 분명히 존재한다.

그들에게는 ‘거절 하는 힘’이 있다. 이 ‘거절하는 힘’을 익히면 거북한 사람 의 무례한 부탁도 거절할 수 있고, 심지어 그들과 거리낌 없이 잘 지낼 수 있다.

이 책을 통해 거절을 못하는 성향적 특성과 대화법에 대해 알 수 있었다.

거절을 잘 하는 것 또한 자기표현을 잘 해야 한다는 것을 알았고 이는 자기 자신의 감정,욕구에 먼저 충실해야 함을 다시 깨달았다.

📚 책속으로:

‘나의 자유‘를 인정하면 상대의 행동에 좌지우지되지 않는다.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의 마음과 감정을 중심으로 생각하고 말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다음 3가지를 명심해야 한다.

1. 가능한 자신의 마음이 원하는 선택을 하겠다고 정한다.

2. 자신에게 부담이 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받아들인다.

3. 거절할 때나 부탁할 때는 자신의 마음에 부정적인 감정이 남지 않도록 이야기한다.

P.S :출판사로부터 해당도서를 지원받아서 작성한 서평입니다.

#아니라고말하고싶을때읽는대화법 #이사하라가즈코 #자기계발 #협상 #화술 #대화법 #밀리언서재 #컬처블룸 #컬처블룸리뷰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