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의 첫 직업은 머슴이었다 - 여든 살 아버지 인생을 아들이 기록하다
한일순 구술, 한대웅 엮음 / 페이퍼로드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보통 아들 한대웅이 쓴 보통 아버지, 하지만 위대한 삶의 여정을 걸었던 한일순의 이야기다.

지금 화폐 가치로는 천만 원이 채 안 되는 돈 때문에 동료를 죽이려했던 시절이었다. 이 책은 그런 혹독한 시절을 몸뚱이 하나로 살아낸 아버지 한일순의 이야기다.

저자는 아버지의 인생을 글로 옮기는 작업이 자신의 콤플렉스를 긁어내는 과정이었다고 담담하게 고백한다.

필자의 아버지 첫 직업은 막노가다 꾼이였다. 막노가다를 하다가 건설회사를 설립하고 지금은 잘 안되고 있지만 그래도 80이 다 된 아버지는 쉬지 않고 일을 하신다.

요즘 아버지가 암투병중 이라서 그런지 병간호를 하면서 병원에서 많은 대화를 나눈 계기가 되었다.

이 책의 저자의 아버지 처럼 필자의 아버지도 사사건건 잔소리를 하고 스스로 먹고살기 위해 악착같이 사셨다.

아직도 아버지랑 그렇게 사이가 좋은 사이는 아니고 요즘 많이 해결했다고 생각하지만 아직도 마음에 남은 불편함과 풀어야 할 과제가 적지 않다.

아버지가 한 인간의 삶에 끼치는 지대한 영향력에 대해 부정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

진작 이런 책이 나왔다면 내 고민도 한결 가벼워졌을 텐데, 그런 아쉬움이 깊다.

아버지가 있었더라도 늘 부재감을 느껴야 했던 당신이라면, 스스로 세상에서 알 수 없는 소외감과 결핍감으로 늘 세상 속에서 뒷걸음질하고 있는 이유를 알고 싶다면, 그리고 더 나은 삶을 살아가고 싶다면, 이 책은 바로 당신을 위한 책이다.

마지막으로 『하룻밤에 읽는 한국사』의 저자인 최용범 씨의 말처럼 50대를 사는 우리 세대가 70, 80대 부모님께 해드릴 수 있는 것, 소통하는 방법으로 부모님 이 살아오신 이야기를 책으로 써드리는 것만큼 좋은 것은 없을 것 같다.

필자도 조만간에 아버지에 대해 솔직담백하게 글을 써봐야 겠다.

📚 책속으로:

아버지의 첫 사회생활은 머슴살이였다. 전쟁 이후 먹고사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고, 둘째 고모할머니라고 형편이 다를 건 없었다. 결국 아버지는 스스로 먹고살기 위해 머슴이 되어야 했다.

비교적 여유가 있는 농부의 집에서 모내기, 김매기, 풀베기 등 잡다한 일을 하고 숙식과 쌀을 받으며 생활을 해나갔다.

#아버지의첫직업은머슴이었다 #한대웅 #한일순 #아버지 #한국에세이 #페이퍼로드 #책 #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