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의 역사 - 세계 경제를 결정하는 5대 머니게임
우야마 다쿠에이 지음, 신은주 옮김 / 더퀘스트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남의 돈에는 날카로운 이빨이 있는 법이다. 종교는 부의 분배에 관한 처세술 같은 것이다.

이 책은 부자가 되는 비법을 알려주는 책은 아니다. 역사 속 경제와 종교의 기밀한 관계를 파헤치는 색다른 주제를 다룬 책이다.

부의 역사에서 아주 중요한 기축이 되는 요소가 바로 종교다. 인간은 종교를 만들어내고 활용하여 부자가 되어왔기 때문이다.

종교는 경제 활동을 촉진하기 위해 생겨났고 경제 활동 속으로 들어가면서 이념적인 발전을 이루게 되었다.그런 의미에서 종교는 경제의 일환이고 본질적으로 세속 생활 그 자체인 것이다.

고대부터 성공하는 사람은 부를 얻고 그것을 자본으로 삼아 더욱 부를 늘렸고 경제 격차는 커져갔다.

경제가 성장하고 발전하는 시대에서 경제 격차는 필연적으로 커지게 된다. 가난한 사람들의 불만은 늘어나고 격차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커지면 빈곤층이 소비 활동을 하지 않아 경제가 돌아가지 않게 된다.

이때 종교가 경제균형과 유동성을 회복하는 역할을 담당하는데 종교는 신 앞에 평등을 내걸고 가난한 사람들을 결속시킨다. 가난한 사람들이 기득권층을 향해서 쿠데타를 일으킬 정당성을 보증해 주기도 한다.

기독교에서 “가난한 자에게 복이 있나니” 라고 가르치는 것이 바로 그것이 라고 저자는 주장한다.

이 책의 장점은 세계 경제를 결정하는 5대 머니게임 속에서 종교사 관점으로 세계 경제의 흐름을 내다볼 수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저자가 종교를 경제에다가 구조화하기 위해 종교라는 복합적으로 접근해야 할 대상을 단순화해서 껴 맞추기 하고 있다는 단점이 있다.

결론적으로 독서 초보가 보기에는 새로운 시각을 알려 준다는 점에서는 좋은 책이지만 내용이 부실하고 종교와 경제의 관계 논리가 조금 부족하다. 다른 책들을 참고하여 종교역사와 경제 공부를 하기를 추천하고 싶다.

📚 책속으로:

•유교가 시대에 뒤쳐졌다는 것은 단편적인 이미지일 뿐입니다. 다양성과 다의성을 포섭하는 유교의 중용 정신은 글로벌 시대에가장 적합한 새로운 지속가치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공자는 옛것을 익혀서 새것을 배운다는 온고지신을 이야기했습니다.

온고지신 정신으로 유교의 가치관을 다시 보고 조직을 재편성하는 것이 진정으로 글로벌 시대의 새로운 요청에 응하는 것인지도 모릅니다.

• 일상의 직업 노동에 전념하는 것이 프로테스탄트에게는 종교적인 의무를 다하는 것이고 일을 해서 얻는 보수는 신의 은혜였습니다. 근로와 절약으로 쌓은 돈이 자본이 되고 이를 기반으로 근대 자본주의가 발전해나갔다고 베버는 주장합니다.

칼뱅 이후 기존에 기피했던, 이자를 취득하는 은행업이 공기업으로 인정받았고 근대적인 금융 자본이 발전했습니다.

베버는 칼뱅이 영리 추구와 재산 축적을 인정한 것이 자본주의 정신의 기반이 되었고 유럽의 근대화를 지탱했고 또 자본주의 사회가 발전하는 원리가 됐다고 이야기합니다.

#부의역사 #더퀘스트 #우야마다쿠에이 #책 #글 #종교와경제 #종교역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