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유산 - 역사와 과학을 꿰는 교차 상상력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기획 / 동아시아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인문학 교수와 공학교수의 만남

이 책은 #고려대학교 공과대학이 박물관의 후원으로 인문학과 공학의 만남인 융합 강연회를 개최하고, 자료를 모아 출간한 책이다.

공과대학은 신기술을 개발하여 인류의 미래를 준비하는 곳이고, 박물관은 과거의 역사와 유물을 연구하는 곳이다.

평소 인문학에 관한 책들은 많이 읽지만 공학 기술에 관련된 책은 잘 읽지 않는게 현실이다.

이 세상에는 다수의 진리가 존재하는가? 지식은 언제까지나 자연과학, 사회과학 그리고 인문학으로 나뉘어 있을 것인가?

이제 교육은 자연과학, 사회과학, 인문학 등으로 나뉘어져 있는 지식들을 하나로 합쳐야 한다고 생각한다.

필자는 토목 공학도로서 늘 안타깝게 생각하는 문제가 이것이다.

인문학 출신은 공학, 기술 관련책을 잘 읽지 않고 이공계 출신은 자기 분야 연구 때문에 혹은 현실적인 돈벌이와 거리가 먼 인문학 책을 등하시 한다.

문과출신은 이공학책을 이공학출신은 인문학 책을 읽어야 살아남는 시대에서 이 책은 우리에게 다시 통합학문시대의 중요성을 알려줬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전통 유산에는 그 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의 욕망, 이해관계, 역사뿐만 아니라 당대의 가장 최첨단의 기술이 담겨 있다.

또한 첨단기술 속에는 공학 및 과학자들이 발명해낸 과학적 지식뿐만 아니라, 해당 기술을 만들어낸 사람들의 욕구와 시대의 필요가 들어 있다.

인문학이 인간과 인간의 근원문제, 인간의 사상과 문화에 대한 학문이라면 과학과 공학이야말로 인문학의 실천이라 할 수 있다.

이 책을 통해 우리는 평소 무심코 지나쳤던 생활 속의 역사와 공학이 눈에 보일 것이고, 그동안 이해하기 힘들었던 것들이 역사와 공학으로 새롭게 설명되는 짜릿한 순간을 맞이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역사와 과학을 넘어, 바야흐로 4차 산업혁명 시대이자 ‘융합’의 시대에 살고 있는 지금 이런 책들이 많이 출간되고 많은 사람들이 읽기를 바란다.

📚 책속으로:

김정호는 『대동여지도』에 내비게이션 기능을 탑재함으로써 통합 모델로서의 ‘대동여비게이션’을 만들고 싶어 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대동여지도』는 도로선을 통해 링크와 노드 방식을 처음 도입한 조선시대 교통망 모델이기도 합니다.

한국에서도 상당히 높은 수준까지 개발이 진행된 자율주행기술에서는 내 차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이 핵심이고, 이는 도로선을 포함하여 도로 상황 전반에 대한 거리와 각도, 고도 정보를 정량화함으로써 실현 가능합니다.

#도서협찬 #첨단유산 #동아시아 #고려대학교공과대학 #책 #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