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공기업 운영 공공체육시설 경영론 - Management theory of Public Sports Facilities run by Local Public Enterprises
정인환 지음 / 지식과감성#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Management theory of Public Sports Facilities run by Local Public Enterprises

한국에서 지방공기업이라 하면 지방자치단체가 직접 설치·경영하거나 법인(지방공사·지방공단 등)을 설립하여 경영하는 기업을 가리킨다.

종류는 수도사업·공업용 수도사업·궤도사업(軌道事業:지하철사업 포함)·자동차운송사업·가스사업·지방도로사업·하수도사업·청소위생사업·주택사업·의료사업·매장 및 묘지 사업 등이 있다. 이 사업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 이상의 것은 지방공기업법의 적용을 받는다.


이 책은 우리 옆에 있는 지방공기업, 우리 옆에 있는 공공체육시설 제대로 이해할 수 있는 책이다. 또한 지방공기업에서 운영하는 공공체육시설의 운영에 관한 내용을 관련 법규 등을 예로 설명하며 정리하고 있어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책이다.

「지방공기업법」 제1조(목적)에서는 지방공기업은 ‘지방자치단체가 직접 설치·경영하거나, 법인을 설립하여 경영하는 기업의 운영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여 그 경영을 합리화함으로써 지방자치의 발전과 주민 복리의 증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로 정의되어 있다.

「지방공기업법」에 의해 설립된 지방공기업은 지방자치의 발전과 주민의 복리증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된 기관으로 지역에서 필요로 하는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게 되며, 사업 운영 형태에 따라 지방직영기업, 지방공사, 지방공단 등으로 구분된다. 지방직영기업은 상·하수도 사업을 주된 사업으로 수행한다.

체육시설을 관리운영하는 데 소요되는 예산은 체육시설의 운영과 관리에 필요한 인건비, 시설유지비 등에 소요되는 비용을 말하며, 예산의 편성 및 집행에 대한 기준은 행정안전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정하고 있는 예산편성기준과 세출예산 집행기준 등으로 정하고 있다.

조직 및 인사는 「지방공기업법」 및 행정안전부에서 정하고 있는 지방공기업 인사운영기준, 지방자치단체의 승인을 받아 시행되는 지방공기업별 내부 운영 규정인 인사운영기준 등을 기준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 책으로 공공체육시설 관리체계구축이 국가, 지방정부, 그리고 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 관리자 외에도 시설을 이용하는 국민에게도 의미가 있는 제도로 인정될 수 있도록 다양하게 연구와 분석을 통해 스포츠 안전문화를 정착되기를 기대한다.

•P.S: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지방공기업운영공공체육시설경영론 #지방공기업 #공공체육시설 #정인환 #지식과감성 #책 #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