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건희 담대한 명언
김옥림 지음 / 미래의서재 / 2020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 실패는 해도 좋다. 실패를 통해 새로운 가치를 발견하라. 두려워해야 할 것은 실패가 아니라 같은 실패를 되풀이 하는 것이다.
오늘날의 삼성을 말할 때, #이건희 회장을 떼어놓고 말할 수는 없다. 한 사람이 한 기업의 역사가 되었고, 신화가 되었다.
이건희 회장의 진가는 삼성의 역사를 써내려갔다는 데 그치지 않고, 지금도 그리고 앞으로도 써내려갈 수 있는 역사의 토대를 구축했다는 데 있다.
그는 미래를 볼 줄 알았고, 사람을 볼 줄 알았다. 거기에서 비롯된 통찰력으로 오늘날 ‘위기의 승부사’이자 ‘불세출의 경영인’으로 기억되는 것이다.
한때 외국에서 ‘코리아는 몰라도 삼성은 안다’고 했던가. 얼마만큼의 비약이 들어간 한마디인가는 알 수 없지만 삼성이 대한민국의 상징이었던 시절은 분명 있었으며, 그 핵심에는 이건희 회장이 있었다.
이 책을 읽는 내내 ‘어려움이 없는 성공은 없다’ 라는 말이 생각 난다.
우리가 20세기 최고의 소설가로 평가받는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를 더욱 소중히 여기는 이유는 작가 마르셀 프루스트가 중병에 죽어가면서 이 책을 썼기 때문이다.
국내 프로복싱 선수 중 홍수환이 가장 기억되는 것은 1977년 파나마에서 헥토르 카라스키야에게 4번이나 다운되었다가 단 한방의 주먹으로 극적인 KO승을 거두었기 때문이다.
극지탐험이 주목받는 것은 그것이 보통 이상의 의지, 체력,인내와 경비, 희생 없이는 불가능하게 때문이다.
노벨상 수상자를 존경하고 부러워하는 이유는 그만큼 그 상을 받기 어렵기 때문이다.
쉽게 이루는 것으로는 높은 수입과 존경을 받기 어렵다. 존경을 받으려면 이건희 회장 처럼 남들이 엄두도 내지 못할 만틈 힘든 일을 해냐야 되지 않을까.
마지막으로 ‘프랑크푸르트 신경영 선언'에서 그는 변화와 혁신을 강조하며 마누라와 자식을 빼고는 다 바꾸라고 했다.
지금까지도 격언으로 남아 있는 이 말은 개인이든 기업이든 변화 하지 않으면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없음을 강조하고 있다.
‘연구 개발을 제대로 하지 않는 것은 농부가 배고프다고 뿌릴 종자를 먹는 행위와 같다’. ‘우리는 단순한 이상주의자가 아니라 가장 위대한 실천가임을 행동으로 보여 주자’, ‘내가 두려워하는 것은 실패 자체가 아니라 같은 실패를 되풀이하는 것이다’ 등을 강조했던 그의 한마디 한마디는 경영인들이 새겨야 할 따끔한 질책이자, 오늘날을 살아가는 모든 이들이 새겨야 할 금언金言이라 할 수 있겠다.
📚 책속으로:
군자란 눈앞의 이익이나 명성을 바라지 않는다. 다만 평생 단 한 번도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지 못하고 아무런 업적도 남기지 못함을 부끄러이 여긴다.
•P.S: 출판사로부터 해당 도서 지원을 받아 작성한 서평입니다.
#도서협찬 #이건희담대한명언 #삼성 #김옥림 #미래의서재 #컬처블룸 #컬처블룸리뷰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