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라운드 업 - 스타벅스 하워드 슐츠의 원칙과 도전
하워드 슐츠.조앤 고든 지음, 안기순 옮김 / 행복한북클럽 / 2020년 9월
평점 :
절판


✅ 역경을 극복하는 사람이 진정으로 성공하는 사람이다.

자주가는 #스타벅스 입구에 보면 고유의 마크가 있다. 바로 그리스 로마신화에 나오는 하반신은 물고기, 상반신은 여자의 형상을 한 #세이렌 이다.

#오디세이아 라는 책에도 나오는데 마녀인 세이렌은 아름다운 노랫소리로 뱃사람들을 유혹하여 배를 난파시켰다. 우리는 그 유혹에 못이겨 오늘도 스타 벅스를 찾는지도 모르겠다.

요즘 세계에서 가장 존경받는 CEO 하면 #하워드슐츠 일 것이다.

그는 스타벅스 명예회장이자 1953년 뉴욕 브루클린에서 태어났다. 학창시절 임대아파트에서 자라며 가난이 무엇인지 몸으로 부딪히며 배웠다.

스포츠에 탈출구가 있다는 생각으로 미식축구에 전념했고, 노던미시건대학교 미식축구팀에 합류하려고 했으나 테스트에서 떨어졌다.

어떻게든 학교에 붙어 있어야 한다는 생각으로 연방정부의 학자금 대출을 받고 바텐더 아르바이트를 하며 대학 공부를 마쳤다. 정말 어려울 때는 피를 팔기도 했다.

가족 중 처음으로 대학을 졸업한 후 영업사원으로 일하던 중 미묘한 커피 맛에 반해 작은 커피 회사인 스타벅스에 마케팅 책임자로 합류했다.

4년 뒤인 1986년 이탈리아 스타일의 에스프레소 바를 열기 위해 스타벅스를 떠나 ‘일 지오날레’를 열었고, 1987년 스타벅스를 인수하며 CEO가 되었다.

정말 역경과 고난을 이겨낸 사나이 같다. 책을 읽는 내내 필자와 성격과 행동이 비슷하다고 느끼기도 했다.

세계에서 가장 큰 커피 회사 스타벅스는 설립 초기부터 직원들에게 의료보험 혜택과 학비 지원 등 다양한 복지 혜택을 제공해온 것으로 유명하다.

뿐만 아니라 여러 사회 현안에 대응하여 토론회를 열고 적극적인 목소리를 내는 등 사회 변화를 촉구하는 데 힘쓰는 기업으로 잘 알려져 있다.

스타벅스가 이렇듯 눈앞의 이익을 포기하고 파격적이라 할 수 있는 제도들을 도입한 것은 스타벅스를 이끌어 온 CEO 하워드 슐츠의 경영 철학 때문이다.

기업의 사회적 역할에 대해 오랜 시간 고민해 온 슐츠는 자신의 회사 스타벅스를 인간 존엄성과 이익의 균형을 맞출 수 있는 회사로 만들고자 했고, 결국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으며 스타벅스를 세계에서 가장 상징적인 브랜드로 성장시켰다.

그리고 이 책을 통해 자신과 스타벅스가 어떻게 사회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고민해 왔는지, 모두의 재능과 추진력을 어떻게 가치 있는 곳에 쏟도록 할 수 있을지, 우리가 살아가면서 해야 할 일은 무엇인지 등을 정리했다.

2000년 슐츠는 공개적으로 자신이 스타벅스의 최고경영자로서 사임을 한다고 공고하였다.

하지만 8년 후에 그는 회사에 우두 머리를 맡는 데 돌아왔다. 2009년 CBS와 인터뷰에서 슐츠는 스타벅스의 임무에 관하여 "우리는 배를 채우는 비지니스에 있지 않고, 영혼을 채우는 비지니스에 있습니다."라고 말하였다.

이 책을 읽고 사회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청년을 비롯한 구성원들의 희망이 필요하며, 기업과 기업가는 그 희망을 심어줄 수 있도록 역할을 해야 한다고 느꼈다.

📚 책속으로:

미국에서 부를 소유한 사람들은 권력까지 손에 넣는다. 소닉스 운영을 맡기 전까지는 내가 내린 많은 결정이 다른 사람에게 긍정적인 결과를 안겼다.

하지만 구단을 매각하고 나서 권력에 수반되는 부정적인 파생물을 뚜렷이 인식할 수 있었다.

또 어떤 결정은 많은 사람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뼈아프게 깨달았다.

나는 뒤늦게야 권력의 본질과 권력을 손에 쥔 사람들의 책임에 대해 생각하고 의문을 던지게 되었다.

#경영철학 #그라운드업 #강추책 #조앤고든 #베스트셀러 #행복한북클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