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는 왜 위험한 것에 끌리는가
리처드 스티븐스 지음, 김정혜 옮김 / 한빛비즈 / 2016년 3월
평점 :
절판
평소 쌍욕을 좋아하고 가끔 게으르고 가만히 멍때리고 있는 걸 좋아한다.
사람들이 입이 거칠다는 둥 태만하다는 둥 말하는데 그것 또한 나만의 스트레스 푸는 방법이였다. 그런데 내가하는 나쁜 습관들도 때론 사람에게 이롭다고 하니 관심 있게 읽어 본 책이다.
이 책은 섹스, 음주, 욕, 과속 운전, 익스트림 스포츠, 공상, 게으름 피우기, 집안일 미루기, 낙서하기, 껌 씹기 등에 이야기 한다.
이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바로 남들이 하지 말라고 하는 ‘위험하고, 삐딱하고, 나쁜 짓’이다.
그런데 이 위험하고 나쁜 짓에도 수많은 이점이 숨어 있다면 어떨까?
이 책은 사람들이 행하는 다양한 일탈행위에도 이로움이 있음을 흥미로운 과학연구와 대중문화 에피소드를 통해 증명하고 있다.
예를 들어 욕을 하면 통증이 경감된다거나, 방이 어지러우면 창의성이 높아진다거나, 낙서가 집중력을 높여준다는 등의 믿기지 않는 사실들 말이다.
사람들은 자신만의 틀에 박혀서 일반적이거나 대중적이지 않은 사상이나 습관에 대해서는 참 뒷말이 많다.
때론 욕을 하는 사람도 그만의 이유가 있지만 다름을 인정하지 않고 인상을 찌푸린다.
무튼 모든 것들이 과하지만 않다면 살아가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보편적으로 엄격한 잣대를 들 이 내면서 사는데 각자 나름의 습관도 인정해 주면서 살면 좋지 않을까.
📚 책속으로 :
사실 우리 연구가 발표된 이후 일부 온라인사전은 ‘스트레스나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저속한 말이나 상스러운 말을 사용하는 것’이라는 뜻의 랄로체지아(lalochezia)라는 신조어를 포함했다.
통증이 극심한데도 당장 의학의 도움을 받을 수 없는 상황일 때는, 욕의 숨은 혜택이 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하길 바란다. 욕에는 통증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어 욕을 하면 처음 몇 번의 통증은 참아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병원에 도착한 이후에는 의료진에 대한 예의에 어긋나므로 욕을 자제하길 바란다.
솔직히 말해 의료시설에서 욕을 하는 것은 아주 드문 경우로, 만일 의료시설에서 욕을 하는 사람을 본다면 그 사람의 상태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이 좋다.
#욕 #스트레스 #우리는왜위험한것에끌리는가 #일상 #책 #추천책 #심리학 #한빛비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