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감염도시 - 대규모 전염병의 도전과 도시 문명의 미래
스티븐 존슨 지음, 김명남 옮김 / 김영사 / 2020년 4월
평점 :
요즘 코로나19로 인해 전염병 과 바이러스에 관심이 높아져서 읽게 된 책이다.
이 책을 읽기전에 우리는 #존스노 라는 사람을 알필요가 있다.
* 존 스노 (John Snow)
<영국의 의사. Koch에 의한 콜레라균의 발견(1883년)의 약 30년전에 「콜레라의 전파방식에 대해서」란 책을 저술하고 이 가운데서 런던에 유행한 콜레라가 전염병임을 나타내고 그 전염경로에 대한 거의 완전한 설명을 가하고 콜레라 예방에 공헌한 것으로 유명하다. 이 조사, 그의 사상은 현대역학의 원리가 되고 있다.>
출처: 간호학대사전.
“거리마다 입 벌린 하수관이 있고,
정원 마다 불결한 도랑( 구거) 이 있다.
강은 악취를 풍기며 흐르고, 강둑은
갖자기 대단한 악취들이 풍겨오는 땅.
그곳에서 뼈 삶는 사람과 기체 다루는 사람과 내장 손질하는 사람은 땅에 독을 채우고 공기를 오염시킨다.
하지만 누가 감히 그것에 손을 대고, 그것을 보호할 수 있겠는가,
그러니 이 많은 사람의 건강은 어떻게 되는가? “
2020년 3월 12일 세계보건기구는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에 대해 판데믹, 즉 전세계적 대유행에 가까운 상황임을 경고했다.
2003년의 사스의 악몽을 떠올리며 세계를 불안의 도가니로 몰고 간 2009년 신종인플루엔자(H1N1)에 대해 판데믹 선언을 한 이후 10여 년 만, 2015년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 이후 5년 만이다.
이 책은 현대 과학의 성과에 정통한 저자 #스티븐존슨 가 영국 빅토리아 시대의 도시, 당시 창궐하던 전염병에 대한 치밀한 조사와 연구를 몰입도 높은 서사에 담아 완성한 과학 논픽션이다.
쉽게 말해서 1850년대 런던에서 콜레라는 어떻게 전염병으로 퍼지고, 억제되었는가, 누가 어떤 시도와 방법을 통해 억제했는가에 대한 이야기다.
앞으로 지구에 인간이 멸망 하는 길은 무엇일까? 그것은 전염병과 핵 , 자연재해 일것이다.
그 중 지금 전염병으로 전세계가 공포에 떨고 있다. 과거에 콜레라를 어떻게 찾아내어 해결했는지 이 책에 답이 있다.
이때 당시 의사도 한몫 했지만 필자와 같은 토목기술자들이 더 큰 일을 해냈다.
썩은 상하수도 시설을 고쳐서 좋은 식수가 나오도록 만든게 바로 #civil_engineer 들이다. 그래서 영국왕립학회에서는 토목기술자라면 최고의 기술자로 인정해 준다.
옛말에 온고지신 이라 말이 있다. 과거에서 배운 방법을 현재에서도 유효하게 쓸수 있다.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대처를 통해 도시문명은 스스로 막아왔다. 이 책을 통해 앞으로도 그럴 수 있으리라 희망을 걸어본다.
📚 책속으로 :
자네하고 나는 그런 날을 보기 전에 죽겠지. 그런 날이 와도 내 이름은 완전히 잊혔을 걸세.
하지만 대규모 콜레라 발생이 까마득한 과거의 일로만 여겨지는 그런 날은 반드시 올거라네. 그리고 질병의 전파 방식을 파악하는 것이 바로 질병의 박멸의 수단이 될 것이네
#감염도시 #추천책 #책 #글 #책리뷰 #독서그램 #김영사 #독서의세계 #세계책의날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