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굴, 사람과 역사를 기록하다 - 개정증보판
배한철 지음 / 생각정거장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초상화 속 흥미로운 한국사

“수백 년의 시간을 견디고 현전하는 초상화와 유물들. 그 안에는 무수히 많은 역사와 이야기가 담겨있다.”

<얼굴, 사람과 역사를 기록하다>는 바로 역사적 인물들의 얼굴에 관한 책이다. 그렇다고 관상에 대한 책은 아니다.

조선시대에 그려진 초상화를 바탕을 우리가 알지 못하거나 잘 못 알고 있는 역사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역시나 역사는 승자에 의해서 기록하듯이 그와 관련된 인물들의 초상화도 승자에 의해서 그려졌다고 말한다.

또한, 이 책은 우리가 좋아하는 왕이나 위인들의 초상화를 재료 삼아 그 뒤에 감춰진 배경지식과 인물들의 사생활 등 역사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흥미로운 이야기를 들려준다.

고려부터 조선 시대를 거슬러 우리 앞에 당도한 초상화와 유물에는 당대의 경제ㆍ정치ㆍ사회ㆍ문화를 대표하는 인물들의 얼굴이 담겨있다.

왕의 얼굴을 기록한 어진부터 황후로 추정되는 사진, 공신과 문인의 영정, 내시, 기생, 파격적인 구도를 선보이는 기인 예술가들의 그림까지 담겨있다.

게다가 조선은 중국의 ‘일호불사 편시타인一毫不似 便時他人’ 즉, 터럭 한 올이라도 같지 않다면 다른 사람이다’라는 화풍을 계승했기에 극사실주의를 추구했다.

평소 우리가 몰랐던 내용들이 이 책에는 많다. 오늘날의 서울시장보다 훨씬 막강한 권한을 자랑했던 한성의 판윤, 청백리도 탐관오리로 변하게 하던 평안감사 지위, 조선의 대표적 음담패설집에 등장하는 대학자들, 임금의 딸과 결혼하여 부마(사위)가 되는 것을 거부하고 멸문지화를 당했던 간 큰 가문, 걷는 것조차 버거울 만큼 뚱보였던 위인들, 조선의 르네상스를 열었던 노론 강경파들, 무수한 염문을 뿌렸던 조선 최고의 여자 가수 이야기 흥미진진한 내용이 많다.

광화문 광장의 이순신 장군의 동상은, 천 원권에 인쇄된 퇴계 이황의 얼굴은 어떻게 그려졌을까?

책을 읽다 보면 후대에 충무공 이순신과 퇴계 이황의 얼굴을 어떤 방법으로 추정했는지, 왜 명성황후의 초상이 남지 않을 수밖에 없었는지 알 수 있었다.

이 책에 실린 초상화 속에서 과거 속 그때 그 사람들의 삶을 사실감 넘치게 느낄 수 있다.

역사에 관해서라면 둘째가라면 서러울 역사 덕후라면, 새롭고 다채로운 방식으로 역사를 이해하고자 한다면, 학생들과 아이들에게 흥미로운 역사를 지도하고 싶은 선생님과 부모님이라면, 공부나 일에 바빠 역사에 흠뻑 빠져 볼 시간이 없던 직장인이라면 이 책은 바로 당신이 찾던 그 책이다.


📚 책속으로 :

명성황후는 늘 언더우드 부인을 세심하게 배려했다. 어느 날 언더우드 부인이 궁에 방문했다가 돌아가려는데 장대비가 쏟아졌다. 왕과 왕비가 아니면 대궐에서 말이나 가마를 탈 수 없었으나 왕비는 몸소 창가로 가서 언더우드를 위해 가마를 대령시키라고 명령했다.

주위에서는 언더우드에게 “사양하고 제발 가마까지 걸어가 달라”고 애걸복걸했다. 언더우드는 결국 걸어서 갔다. “비에 흠뻑 젖었어도 왕비의 따뜻한 배려에 마음이 푸근해졌다”라고 그녀는 적고 있다.


다산 정약용의 진본 초상화는 남아있지 않다. 충무공 이순신 영정을 그렸던 원전 정우성의 다산 초상화가 1974년 표준영정으로 지정되었지만, 이 영정은 진본에 근거하지 않은 작가의 창작품이다.

#얼굴사람과역사를기록하다 #증보판 #배한철 #생각정거장 #역사 #책 #역사서 #실록바깥의역사 #문화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