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말에도 적당한 거리가 필요합니다 - 침묵으로 리드하는 고수의 대화법
다니하라 마코토 지음, 우다혜 옮김 / 지식너머 / 2020년 1월
평점 :
✅ 모든 인간관계는 ‘말의 사이’를 다루는 솜씨로 결정된다. (유연하게 기다리고 센스있게 받아쳐라! )
“ 지금 껏 관객들이 가장 크게 웃어주었을 때는
내가 아무 말도 하지 않고 입을 다물고 있었을 때다.”
📌 잭 베니 (미국 코미디언)
이 책은 대화의 고수가 되는 비법을 말하는데, 말을 잘하려면 화려한 말재주보다는 '말의 사이'를 다루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즉 '대화의 여백'(침묵), '제스처', '물리적 거리' 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연설이나 논쟁, 친분을 쌓기 위한 대화에서 '말의 사이'가 얼마나 효과적으로 기능하는지 다양한 사례로 증명한다.
유명 변호사로 활동하면서 다년간 효율적인 설득법을 연구해 온 저자가 심리학을 더해, 비즈니스에서부터 일상에서 벌어지는 여러 상황에서 활용할 대화의 기술을 우리에게 알려주는 책이다.
“설득을 하고자 하는 사람이라면 올바른 주장이 아니라 올바른 언어를 신뢰해야 한다. “
📌 조지프 콘래드
대화는 자신이 말하거나 상대가 하는 말을 듣는 것의 반복이다. 비유 하자면 말로 하는 캐치볼 이다.
한쪽은 말이 빠른데, 다른 쪽은 말이 느리다면 굉장히 어색한 대화가 펼쳐질 것이다.
소위 ‘흐름이 좋지 못한 대화’ 이다. 그럴 때는 적절하게 ‘간격’ 을 두면서 상대와의 대화 리듬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반대로 상대가 불안해하고 초조해하는 것 같다면 상대방의 흐름이 너무 빠르다는 뜻이다.
이럴 때는 상대를 가라앉힐 요량으로 일부러 ‘간격’ 을 두고 천천히 자신의 흐름에 맞추도록 유도하는 방법도 있다.
보통 사람들은 프레젠테이션을 할때 긴장을 하면 말이 빨라진다.
이야기 도중에 상대의 주의를 끌고 싶다면 중요한 말을 하기 전에 침묵함으로써 이목을 집중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 방법을 잘 써먹은 사람이 바로 스티브 잡스 이다.
청중에게 가장 효과적으로 영향력을 발휘하고자 초반 7초간 침묵을 전략적으로 이용했다. 침묵은 청중의 주의를 끄는데 효과적인 수단이 되었다.
이 방법은 심리학 용어중 #자이가르닉효과 (달성한 일보다 달성하지 못했거나 중단된 일을 더 잘 기억하는 현상) 을 적절히 이용한 방법이다.
인간관계에서 말을 너무 안해도 문제지만 말을 너무 많이 해도 문제이다.
시종일관 침묵으로 타인을 대하면 상대방은 그 사람을 신경질적이고 까다로워 보이고 당최 무슨생각을 하는지 알수 없는 사람으로 오해 할수도 있다.
반대로 자기말만 하기 바쁜 사람, 자신이 말 많이 하는 줄도 모른체 사는 사람도 있다.
이런 사람들이 어른이 되거나, 결정권자의 자리 잡게 되면 인간 괴롭히는 괴물이 된다.
자신의 궤변을 합리화 시키려고 정상인들의 말과 행동은 항상 틀렸다 한다. (우리 주변에서 종종 자주 볼수 있는 사람들이다.)
자신의 ‘말’ 만 하는 습관은 결국 귀막혀 듣는 능력이 사라져 버린다.
말은 너무 안해도 문제지만 많이 하면 늘 실수를 하고 오해소지를 살 수 있으니 적당한 말이 중요하다.
이 책을 완독하고 나서 인간관계 대화법에 대해 많이 배웠다.
평소에 말이 많이서 실수하는 사람, 상대방은 생각 안하고 주저리주저리 떠드는 사람은 이 책을 꼬옥 읽어보기를 권하고 싶다.
📚책속으로:
* 상대에게 전하고 싶은 이야기 , 각인시키고 싶은 내용, 기억했으면 하는 점을 강렬하고 짧은 메시지로 만들어 대화하는 중간중간 반복하고, 말한 후에 침묵하십시오.
* 상대의 의견에 반대하고 싶을때는 동의하고, 질문 한 뒤 , 다른 의견을 제시하면 부딪치지 않는다.
#말에도적당한거리가필요합니다 #침묵의힘 #책리뷰 #글 #지식너머 #다독다독 #다니하라마코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