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식의 미술관 - 그림이 즐거워지는 이주헌의 미술 키워드 30 ㅣ 이주헌 미술관 시리즈
이주헌 지음 / 아트북스 / 2009년 9월
평점 :
직관은 논리를 뛰어넘는다. 직관은 언어가 아니라 이미지를 소비한다. 순간적인 이미지로부터 본질을 파악하고 즉각적인 실천을 이끌어 낸다. 그래서 실수가 적지 않다. 그러나 흥미로운 것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직관에 따른 판단이 논리에 따른 판단보다 뛰어날 때가 많다는 것이다. 우리가 미술작품을 중요한 감상의 대상으로 생각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바로 주어진 이미지의 감상을 통해 우리는 세계의 본질과 직접적으로 만날 수 있기 때문이다. 미술작품은 탄생할 때부터 의미의 전달을 위해 철저히 준비된 이미지다. 의미의 '레디메이드'다. 우리가 원하기만 한다면 그저 스쳐지나가는 다른 일상의 이미지들과 달리 나름의 가치와 의미를 풍성히 제공해줄 준비가 되어 있는 이미지들인 것이다. 중요한 것은 창조성이다. 학문적 성취든 예술감상이든 창조적인 시각만이 의미를 발견해내고 만들어낸다. 이 창조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이 앞에서도 말한 직관이다. 흥미로운 사실은 작품의 가치를 직관적으로 파악하는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서는 다시 지식의 습득과 경험의 확대가 절실히 필요하다는 것이다. 감식안이 되는데 있어 지식과 경험이 전부는 아니지만 지식과 경험은 직관이 가지고 놀 수 있는 기본적인 재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직관은 지식과 경험이라는 구슬을 꿰는 줄이기 때문이다. - 글머리에서 -
준비된 이미지로서의 미술의 세계 속으로 들어가고 나오고 대화하는 것이 그리 쉽지 않다. 아니 참 어렵다. 그림을 통해 어떤 느낌을 받는다는 것 자체가 신기할 정도로. 어쩌면 그만큼 나는 미술의 이미지들을 보고서도 무심하게 그리고 바쁘게 지나치는 것에만 익숙해 왔고, 이에 덧붙여 이미지들에 관련된 경험도 지식도 변변찮게 갖추지 못한 것이라고 봐야할 것이다. 그래서 미술에 관련된 책을 접하면서도, 읽어내려가면서도 들어오는 생각은 뭐랄까, 밑빠진 독에 물을 붓는다는 느낌이라고 해야 할까. 뭔가 들어오는 듯 하지만 어느 사이에 사라져버리는 증기같은 지식 조각들, 그리고 그와 함께 나풀거리는 희미한 느낌들이 미술과의 대화를 방해하는 듯하다. 여전히 인내가 요구되는 시점이다. 그래도 이 책을 통해 여러 이미지들과 느낌을 나누고, 이야기를 할 수 있을 만큼의 지식, 경험, 그리고 어떤 느낌을 갖기까지의 작은 한 징검다리를 지났다고 생각하면 좀 마음이 편할 것도 같다. 책은 재밌었다. 여러 이야기거리들이 눈과 마음을 즐겁게 해 준다. 배움의 즐거움이다. 한편으로는 이미지 역시 시대와의 소통을 피할 수 없음을 느낀다. 오리엔탈리즘, 로맨틱에의 열정, 인상파의 등장, 반달리즘과의 관계, 학살을 그린 그림, 냉전주의 속에 피어난 추상표현주의, 자본주의 속에 불거진 아트 매니지먼트 등의 이야기들은 보다 피부에 와 닿는 것들이었다. 시대의 삶과 그 시대를 살아가는 인간의 욕망과의 접점에 놓여있는 이미지들이다. 이렇게 삶을 느끼고 삶을 보고, 삶을 드러내는 작업으로서의 미술은 때로는 한 마디 말보다 풍성한 대화를 나누게 하고, 또한 그 나름의 소통 방법을 제시하고 있음이 분명하다. 느낌을 나누는 것, 그 느낌의 폭을 넓히고 깊게 하는 것, 좀 더 인내를 갖고 즐겨도 될 일인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