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 하 일본 기독교사 - 국가를 넘어서지 못한 일본 프로테스탄트 교회
하라 마코토 지음, 서정민 옮김 / 한들출판사 / 2009년 2월
평점 :
품절


일본이라는 나라를 새삼 다시 보게 된다. 메이지 유신 이 후 근대화 발전에 박차를 가하면서 선진국이라는 명칭을 얻게 된 일본이 괜히 세계 대전을 일으키게 되었는지, 그리고 지금도 보수 우경화의 악연을 끊지 못하고 있는지, 허울을 벗고 그 속내를 드려다 본 것 같은 기분이다. 이 과정에서 국가에 적응하고 순응하는 일본 기독교의 모습을 보는 것은 한편으로는 이해가 되면서도 한편으로는 아쉬움을 넘어 잊지 말아야할 과오라는 쓰라린 반성을 수반하는 것이었다. 이해가 된다는 것은 국가의 강력한 통제 아래 마치 국가 기관의 일부처럼 철저히 지배받고 이용당했던 시기로서, 국가에의 순응 이 외에는 다른 길이 없었을 것이라는 쓰라림이 담긴 시기라는 점에서 그렇다. 그러나 이것은 분명 쓰라린 반성으로 기억되어야만 하는 것이기도 하다. 왜냐하면 저자의 말대로 이 시기의 교회는 비록 교회로서 지향해야 할 존재해야 할 형태는 아니었기 때문이다.

지금의 한국 상황에서 한국 기독교가 순수한 복음이라고 말하면서 개인 신앙, 개인 구원에만 열을 올리는 것이 안고 있는 문제는 일본적 기독교의 특성을 통해 바라보면 보다 명확해진다. 역사가 보여주는 증언과 같다. 정교분리를 교회가 정치에 관여해서는 안되는 것이라고 알고 있는 통념은 분명한 오해다. 정교분리는 신앙의 적극적 표현의 자유에 기반한 논리임을 명확하게 이해해야 한다. 일본이 국가를 상대화 하지 못했고, 따라서 국가와 사회를 향해 부여받은 사명을 다하지 못한 일본 교회 역사가 보여주는 것은 기독교 신앙의 예언자적 외침의 부재였다. 개인신앙, 개인구원은 필요하다. 그러나 그것이 전부가 아니다. 반대로 사회의식, 사회구원도 필요하다. 그러나 그것도 전부가 아니다. 교회라는 공동체의 존재 자체가 그 증거이다. 신앙이 있고 관계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