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K를 보다 - 한류는 어떻게 국경을 넘어 문명이 되었는가
정호재 지음 / 메디치미디어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21년 한 해는 그야말로 전 세계적으로 한류에 대해 폭발적인 관심을 받은 해였다.

내가 대학시절만 해도 '한국'이라는 존재를 잘 모르던 시대였으며 관심도 없는 나라여서 자존심이 상한 적도 있었는데 지금은 '한국'을 모르면 바보라는 느낌을 받을 정도로 인기다. 이런 관심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지지 않았다.

싱가포르와 미얀마를 오가며 아시아 미디어와 문명론을 연구한 언론인 출신 노마드 정호재가 아시아를 중심으로 일어나고 있는 한류 현상을 이 책을 통해 진단하고 있다.

학문적 토대와 기자 활동으로 쌓아온 취재와 분석 실력, 그리고 동남아 현지 체류 경험으로 케이팝과 한국 대중문화에 대해 날카로운 시선으로 보며 아시아를 중심으로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말한다.


1장에서는 한류가 아시사 문명의 철학이 될 수 있는지, 2장에서는 제이팝, 제이 모델이 세계화에 실패한 이유, 3장에서는 국경을 넘어 케이팝에 기여한 음악, 4장에서는 정치적인 한류와 케이 모델, 그리고 5장에서는 자주인지, 세계화인지에 대해 이야기를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책을 마무리할 때쯤 < 오징어 게임 >에 대한 이야기들이 나와 이 부분은 에필로그에서 이야기를 한다.





















이 책을 읽으면 아시아가 어떤 방향으로 흐르고 있으며 거기에 맞추어 한류를 어떻게 명품 브랜드로 만들어 갈지 우리가 해결해야 할 점들이 무엇인지 알려준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엔테테인먼트의 철학을 알 수 있으며 어떻게 아시아 시장에 진출하여 한류를 알리기 시작했는지 이야기한다. 또한 한때는 우리나라보다 훨씬 모든 면에서 앞질렀던 일본이 지금은 쇠퇴하고 있는 이유도 알려준다. 무엇보다 스타와 콘텐츠라는 것이 구경을 넘나드는 문명적인 현상이라는 관점과 정치적인 사건의 지평 위에 서 있다는 점에 대해 깊이 생각하여 말하고 있다.

작년에 한류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관심을 받았고 이 흐름을 계속 이어가기 위해서는 한국 문화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동아시아를 대표할 수 있는 힘을 길러야 문명적 의미와 세계사적 의미를 지닐 수 있어야 오래 지속됨을 이야기한다. 서구의 중심이 '미국'으로 흐른다면 동아시아의 흐름을 '대한민국'으로 만들어야지만 굳건한 문화의 힘을 유지할 수 있다.

한류문화(K-wave)에 대해 알고 싶거나 관심이 있다면 이 책을 꼭 읽어보길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