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찢어진 운동화
로사 캄바라 지음, 일라리아 자넬라토 그림, 황지영 옮김 / 한울림어린이(한울림) / 2021년 11월
평점 :

<<찢어진 운동화>> 을 보니 며칠 전에 찢어진 운동화를 버린 기억이 났다.
운동화는 한 번 신으면 떨어지거나 찢어져야 버리게 되는데 주인공은 무슨 일로 찢어진 운동화를 신고 다니고 있는 걸까? 다들 어디론가 가는 모습들이 바빠 보인다. 원제목 '신발이 부러진 아이' 보다 번역한 제목이 더 마음에 와 닿는다.
주인공 다리오는 이름 대신 '찢어진 운동화'라고 불리며 새 학년이 시작되었다.
다리오가 교실에 들어서자 반 아이들은 시비를 걸며 온갖 비난과 욕설을 퍼붓는다.
끝없는 이 상황에서 벗어나고 싶은 다리오는 벌떡 일어나 큰 소리로 외친다.
걷거나 뛸 때 우리는 신발을 신는다. 신발을 신기 때문에 땅바닥에 있는 위험하거나 불쾌한 것들로부터 발을 보호하며 잘 맞는 신발을 신으면 어디든지 편하게 갈 수 있다. 하지만 맞지 않는 신발을 신으면 걷는 것이 불편하고 피곤하다. 또한 신발은 한 사람의 모습을 표현한다. <<신데렐라>>에서 유리구두는 과거를 버리고 새로운 세상을 만나며 <<장화 신은 고양이>>에서는 행운과 행복을, <<오즈의 마법사>>에서는 모험을 상징하는 것처럼 긍정적인 이미지이다. 하지만 <<찢어진 운동화>>에서는 밑창이 떨어질까 봐 노심초사하고, 다른 사람들이 놀릴까 봐 가슴 졸이는 그리고 친구들의 따돌림 대상이 되는 기죽게 하는 부정적인 이미지를 상징한다.
<<찢어진 운동화>> 주인공은 이 점을 스스로 방법을 찾아내고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언제 망가질지 몰라 조심조심 천천히 걷는 다리오 모습에서 학교폭력 피해자 모습을 볼 수 있다. 다리오가 찢어진 운동화를 던져 버리고 반 아이들을 앞서 달리는 모습을 보면 스스로 해결 방법을 찾아 자유를 찾은 장면에서 박수를 보낸다.
학교폭력, 왕따, 집단 괴롭힘으로 힘든 모든 아이들에게 이 책을 추천한다.

***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주관적인 의견으로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