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의 이상 비대와 그로부터 야기되는 일련의 재난을 '비가역적인' 것으로 선언하는 것은 역사적 결정론의 한 형태로 의심받아 마땅하다. 극단적으로 말해서, 그것은 인간 활동의 산물인 사회적 과정들을 생물학적 진화와 유사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어떤 이들은 '비가역성'이라는 사고가 번번이 '리얼리즘'에 호소한다는 이유로 이를 기존 질서('사물의 자연적 질서')를 정당화하는 입장과 동일시한다. 또 어떤 다른 이들은 '비가역성'이란 사고를 기존의 경제적 정치적 관계들로부터의 분명한 출구나 대안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그로부터의 자신의 해방이 용이하지 않을 때 이 관계들에 대한 체념적 복종으로 해석한다.
금융 영역에서 '비가역성'이라는사고는 무식의 소치이다. 이 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20세기의 금융사를 일별하는 것으로 족하다.

- 프랑수아 셰네 엮음, 서익진 옮김, <금융의 세계화>, 한울, 2002, 39쪽

"금융시장의 지배 과정은 전복될 수 있으며 또 전복되어야 한다." 부아예와 드라슈가 사용한 이 엄중한 표현은 오늘날에는 거의 듣기 힘들기 때문에 여기서 강조해둘 만하다. 그것은 이 책의 다른 논자들도 공유하는 확신이며, 신자유주의의 이론적 확실성에 대해서 그리고 이것이 경제, 사회 및 정치 영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비판적 태도를 견지하는 것이다. 우리는 사전에 경제적으로 결정된 운명도, 사회관계의 변경과 무관하지 않은 다소 극적인 교정 정책에 의해서 해결될 수 없는 상황도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 위의 책, 40쪽

자연 일반의 질서는 기본적으로 '비가역성'을 특징으로 하는 엔트로피 법칙이 지배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생물학적 진화는 복잡성이 증가하는 것이지 무질서도가 증가하는 것은 아니다. 인간 사회의 역사도 지질학적 시간대 속에서는 극히 짧은 순간을 차지할 뿐이지만, 이러한 복잡성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진화해왔다. 즉, 네겐트로피적 속성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복잡성의 증가는 어떤 방향을 미리 내재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비가역성'과는 거리가 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