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좋아한 사람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43825133386534.jpg)
▲ 수난받아 십자가에서 죽고 부활하는 신인 디오니소스를 형상화한 석고 작품
(AD 300년경 발견)
● 예수는 인류의 구원자이며 인간이 된 신이고, 하나님의 아들이며 아버지와 동격인데, 오시리스-디오니소스 또한 그렇다.
● 예수는 인간 처녀에게서 태어나고, 그의 어머니는 사후에 하늘로 올라가 신적 존재로 추앙되는데, 오시리스-디오니소스 또한 그렇다.
● 예수는 12월 25일 혹은 1월 6일에 태어나는데, 오시리스-디오니소스 또한 그렇다.
● 예수의 탄생은 한 별에 의해 예고되는데, 오시리스-디오니소스 또한 그렇다.
● 예수는 베들레햄에서 태어나는데, 그곳은 오시리스-디오니소스에게 신성하게 여기진 작은 숲 속에감춰져 있는 곳이었다.
● 예수는 마기의 방문을 받는데, 마기는 오시리스-디오니소스를 섬긴 사제였다.
● 마기는 예수에게 황금과 유향과 몰약을 예물로 바치는데, 그것은 BC 6세기의 이교도가 신을 숭배하는 방법이었다.
● 예수는 세례를 받는데, 세례는 미스테리아 의식에서 수세기 동안 행해져왔던 것이다.
● 예수에게 물로 세례를 준 성스러운 인간(세례 요한)은 이교도의 물의 신과 이름이 같으며, 이교도들이 물의 축제를 벌인 하지에 태어난다.
● 예수는 신도들에게 물과 공기와 불의 세례를 주는데, 이교도 미스테리아 의식에서도 그랬다.
● 예수는 장발에 수염을 기른 이방인으로 그려지는데, 오시리스-디오니소스 또한 그렇다.
● 예수는 결혼식 때에 물을 포도주로 바꾸는데, 마찬가지로 결혼식 때 오시리스-디오니소스 또한 물을 포도주로 바꾸었다.
● 예수는 병자를 고치고, 귀신을 쫓아내고, 기적의 음식을 베풀고, 어부를 도와 물고기를 잡게 하고, 사도들을 위해 물을 잔잔케 하는데, 이교도 현자들도 그 모든 기적을 행했다.
● 미스테리아 현자들과 마찬가지로, 예수는 유랑을 하며 기적을 일으키고, 고향에서는 존경 받지 못했다.
● 예수는 파격적인 행동을 한다고 비난을 당하는데, 오시리스-디오니소스의 신도들 또한 그렇다.
● 예수는 처음에 사도들에게 신격을 인정받지 못하다가 나중에 성스러운 변모를 보여 주는데, 오시리스-디오니소스 또한 그렇다.
● 예수는 12사도들에게 둘러 싸여 있는데, 오시리스-디오니소스 또한 그렇다.
● 예수는 무리들이 나뭇가지를 흔드는 동안 나귀를 타고 성으로 입성하는데, 오시리스-디오니소스 또한 그렇다.
● 예수는 이설과 새로운 종교를 퍼뜨린다는 부당한 비난을 받은 의로운 자인데, 오시리스-디오니소스 또한 그렇다.
● 예수는 위선자들의 공격을 받고 폭군 앞에 불려가고 기꺼이 죽음을 향해 나아가며 사흘 만에 다시 살아날 거라고 예언하는데, 이교도의 성자들 또한 그랬다.
● 예수는 은 30(냥)에 배신을 당하는데, 소크라테스의 이야기에서도 그런 주제가 발견된다.
● 예수는 빵과 포도주와 동일시되는데, 오시리스-디오니소스 또한 그렇다.
● 예수의 사도들은 상징적인 빵과 포도주를 먹고 예수와 교섭하는데, 오시리스-디오니소스의 신도들 역시 그렇다.
● 예수는 나무 혹은 십자가에 매달리는데, 오시리스-디오니소스 또한 그렇다.
● 예수는 세상의 죄를 대속하기 위한 희생양으로 죽는데, 오시리스-디오니소스 또한 그렇다.
● 예수의 시체에 몰약을 바른 후 세마포로 싸는데, 오시리스-디오니소스의 시체 또한 그렇다.
● 죽은 후 예수는 사흘만에 부활해서 사도들 앞에 나타나 하늘로 올라가 하나님의 옆에 서고, 다시 지상에 나타나 심판할 종말의 날을 기다리는데, 오시리스-디오니소스 또한 그렇다.
● 예수가 죽어서 부활했다는 날은 오시리스-디오니소스가 죽어서 부활했다는 날과 정확히 일치한다.
● 예수의 빈 무덤에 3명의 여신도가 찾아오는데, 오시리스-디오니소스 또한 3명의 여신도가 빈 무덤을 찾는다.
● 예수는 사도들에게 자신의 수난을 같이하게 함으로써 다시 태어날 기회를 주는데, 오시리스-디오니소스 또한 그랬다.
- <예수는 신화다> '제3장 악마의 모방' 중에서
<예수는 신화다>의 티모시 크리프와 피터 갠디 두 저자는 오시리스-디오니소스와 예수 전기의 유사성에 대한 증거를 이렇게 모아놓았다. 그리스도교 초기의 교부들이 주장했던 것처럼 이것은 정말 완벽한 악마의 모방일까? 아니면 불가사의한 우연의 일치일까?
이처럼 동일한 전기를 놓고 하나는 신화로, 다른 하나는 역사적 사실로 받아들이는 것이 상식적으로 가능한 일일까? 백번을 양보해 전기의 유사성은 일단 그렇다고 치고 넘어가자. 예수의 영적 가르침은 과연 얼마나 독창적인 것인가? 두 저자는 교부 클레멘스와 순교자 유스티누스의 입을 빌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리고 있다.
"가장 초기의 그리스도교 지성인들은 이교도 철학을 배운 사람들이었고 그 철학이 그들 자신의 교리와 너무나 많이 닮았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다. 교부 클레멘스는 복음서들을 '완벽한 플라토니즘'으로 간주했다. 순교자 유스티누스는 헤라클데이토스와 소크라테스 등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을 그리스도 이전의 그리스도교인이라고 일컬었다."(위의 책, 5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