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슈나무르티의 명상 - 크리수나무르티재단 한국위원회 번역 시리즈 1
지두 크리슈나무르티 지음, 김영호 옮김 / 홍진북스(중명출판사) / 2003년 10월
평점 :
절판


문제를 대하여 우리는 어떤 문제 해결 방식을 고르는가. 과거의 경험으로부터 온 지식으로 나는 문제를 푸려고 한다. 확실히 그렇다. 화를 내면 우리는 '화를 내지 말라’고 한다. 화를 낸다는 것은 ‘사실’이다. 화를 내지 말라고 하는 것은 ‘당위’다. 사실과 당위로 나누고 우리는 당위를 내세워 해결하려고 한다. 하지만 당위, 즉 이러 이러 해서는 안 된다고 하는 것은, 이상이고 이룰 수 없는 희망일 뿐이다. 이것은 문제를 푸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문제를 더 복잡하게 만든다. 왜냐면 지나간 과거의 경험이나 지식으로 접근하거나 푸려고 하려고 하니까. 이는 결코 문제를 푸는 접근이 못되고 오히려 꼬이게 한다. 우리 현실에서 그런 예는 얼마든지 많다.

우리는 흔히 폭력의 문제로 골치를 썩으면서 폭력을 물리치는 방법을 서둘러 이렇게 처방한다. 곧장 그 폭력을 없앨 방법으로 우리는 비폭력을 상정한다. 즉 폭력의 반대는 비폭력이라는 버릇된 생각으로 문제를 푸려고 든다. 그런데 그것이 과연 문제를 푸는 것일까. 크리슈나무르티는 이에 비폭력은 없다고 말한다. 비폭력이란 다만 이상이며 문제를 회피하며 도망가려는 태도에 불과하다고 본다. 그래서 비폭력으로 맞설 것이 아니라 우리가 얼마나 잔인하며 폭력적인지 보라고 이른다. 그렇게 폭력적임을 보는 것, 그것은 관찰이다. 그것이 해결에 이르는 길이라고 한다.

전쟁도 보라. 우리는 전쟁이 나쁘다는 가치만을 주장해서 우리는 전쟁을 막아보려고 한다. 하지만 달리 하는 방법으로서 우리 인간의 잔인을 직접 바라본다면 희망이 보인다. 우리는 이라크 사람의 참상을 눈으로 보면서 우리 인간의 잔인을 본다. 즉 보고 깨칠 때 전쟁을 막을 수 있다. 이는 집단화된 논리보다도 우리 개인마다 숨어 있는 폭력성을 일깨울 때부터 시작된다는 말이다.

그의 가르침에서 자주 나오는 관찰과 관찰대상에 분리가 없어야 한다 함은 문제를 보는 우리의 눈을 바꾸라는, 즉 인식의 태도를 일깨우는 것이다. 관찰자가 관찰하는 것이란 실체가 없는 이상을 떠올리고 그것에 다가가서 얻으려고 하는 것은 더욱 분리만 거듭할 뿐, 즉 관찰자와 관찰대상이 만들어져 분리가 일어날 뿐이다. 그래서 관찰자가 관찰 대상과 하나되는 것에 목표가 주어져야 한다. 그의 가르침에서 지식과 관념이 왜 문제인고 하면 분리를 더욱 자극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과거의 죽은 경험으로부터 만들어진 지식과 관념으로써 관찰하고자 하고 그래서 더욱 분리가 일어나는 꼴이 된다는 것이다. 관찰 대상이 만들어짐은 곧 하등 실제적이지도 않고 문제도 해결하지 못하는 지식과 관념만 늘어난는 것과 같다. 오직 비교 따위의 조건지어진 굳은 생각으로 다가갈 뿐이다.

이 때 중요한 것이 바로 명상이다. 명상은 관찰을 하는 것이다. 그래서 이해가 넓어진다는 말이 되는 것이 아닌가. 관찰하라, 이것은 명상하라는 말이다. 명상하면 우리는 어떤 방법이나 형식을 떠올리고 어디 골방에 갖혀 침잠하는 무엇을 말하기 십상이다. 즉, 하는 방법만을 생각하지만 그것이 명상일까? 아니다. 관찰을 하는 것이다. 물론 명상을 겉으로 드러난 모습은 정적이 요구된다.

우리가 깊이 알아보고 알아차리는 것이 명상이다. 우리가 문제라고 보는 것이 실은 내 안에 있다는 자각을 하는 것이 명상이다. 들여다 보고 깊이 정적을 이루면 내가, 바로 내가 알아내는 것이 명상이다. 명상은 그래서 형식으로 요란을 떨어야 하는 무엇이 아니고 일상 가운데서 하는 것이다. 명상은 세상으로부터 도피가 아니고 문제를 깊이 보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래서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라는 시간관념을 벗어나 순진 무구한 상태로 돌아가서 있는 그대로 보는 것이 명상의 모습이다. 이로 하여 결국 이해가 피어나는 것이고 마침내 사랑이 피어나는 것이다. 명상 속에서 과거의 지식으로부터 벗어나게 되고 그 지식을 종결 짓게 되고 아는 것으로부터 벗어나 자유를 얻게 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