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홍여우전 - 구미호, 속임수의 신을 속이다
소피 김 지음, 황성연 외 옮김 / 북폴리오 / 202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북폴리오에서 책을 제공받아 자유롭게 작성하였습니다.


구미호와 타락한 신 석가의 범죄 수사 로맨스

 우리나라 고전 민담과 설화, 불교의 이야기를 잘 조합한 천재 작가가 나타났습니다. 그것도 미국에서 말이죠. 판타지 로맨스이자 범죄수사물의 장르도 차용한 『주홍여우전』은 시작부터 흡입력 있게 독자를 이야기 속으로 불러들입니다.


 하늘나라 옥황에서 추방당한 신인 석가는 이승인 이곳에서 유일하게 커피를 좋아합니다. 커피를 혐오하지만 생계를 위해 카페에서 일하는 구미호 하니는 무례한 손님인 석가가 마음에 들지 않죠. 추방당했어도 신은 신이기에 석가를 함부로 대할 수가 없어 답답해하던 어느 날 하니는 의도치 않게 석가에게 쏟고 대판 싸우게 됩니다. 하니는 자신의 정체를 감추고 석가를 골탕 먹이기 위해 그의 조수로 들어가 수사를 방해하기로 결심합니다.





 서로 혐오하는 관계가 어떻게 사랑에 빠지는지 내용도 궁금하지만 『주홍여우전』의 진짜 매력은 설화와 민담에서 가져온 인물들입니다. 주인공 하니는 1700년을 넘게 산 꼬리 아홉 개 달린 여우입니다. 인간의 간을 좋아하고 영혼을 빨아먹어 여우구슬에 담아 강해지는 것이죠. 주인공 석가는 우리가 아는 석가모니 부처님입니다. 『주홍여우전』에서는 타락한 속임수의 신으로 나오죠.


 인간세계에 있지만 인간들에게 보이지 않는 신신시(새로운 신의 도시)에는 해태가 경찰입니다. 옳고 그름을 구별하는 상상의 동물에게 아주 잘 어울리는 직업이죠. 정장을 입은 흰머리에 블랙커피만 마시는 저승사자도 등장하고, 밤새워서 놀기 좋아하는 도깨비, 단군신화의 환인과 환웅, 물귀신과 쇠를 먹는 불가사리, 어두움 그 자체인 어둑시니도 등장해요.



 작가인 소피 김이 서문에서도 말하고 있어요. 역사와 문헌에 근거한 정확한 사실을 전달하려는 게 아닌 이미 알고 있는 것에서부터 재창조한 것이 이 소설이라고요. 설화를 조금만 아는 것으로도 『주홍여우전』을 즐겁게 읽을 수 있을 거예요.



저는 종종 이야기를 바꾸어 말하는 것이 그 이야기를 되살린다고 말해왔습니다.
P. 7 l 작가의 말






 『주홍여우전』은 표면적으로 전통 설화의 흥미로운 이야기를 갖고 있고,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사랑과 변화 그리고 희생에 관한 이야기를 하고 있어요. 석가와 하니는 사랑에 빠지면서 삶을 대하는 관점이 바뀝니다. '살아지는' 삶에서 '살아내는' 삶으로, 중심이 자기 자신에게서 사랑하는 상대에게로 바뀌는 경험을 해요. 그리고 사랑하기 때문에 자신이 가장 소중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희생합니다. 포기로 보인 희생이 엄청난 결과를 가져다주는 것이죠.



 소설에 나오는 모든 게 한국적인 것만은 아니에요. 소피 김 작가는 한국계 미국인이기에 미국스러움과 서양의 문화도 엿볼 수 있습니다. 속임수의 신이자 타락한 신인 석가를 보면 로키가 떠올라요. 마블 영화의 등장인물로 더 잘 알려진 로키는 북유럽 신화의 장난의 신입니다. 의붓형인 토르를 질투하는데 『주홍여우전』에서도 석가는 형인 환인을 라이벌로 생각해요.



 신들의 일상을 기사로 내보내는 가들리 가십 Godly Gossip도 보는 재미를 더합니다. 기사 제목이 엄청 웃겨요. 해리 포터에 나오는 움직이는 사진이 있는 신문과 가십걸의 포스팅이 생각났어요.


 소설을 읽다 보면 숫자의 의미도 궁금해집니다. 주홍 여우인 하니가 엄청나게 포식한 해를 연쇄 살인자 잭 더 리퍼 Jack The ripper 가 등장한 1888년과 연결시켰거든요. 그래서 석가의 2만 군대, 628년 전 쿠데타도 궁금하거든요. 1392년이 조선 건국 일이라 628년을 더하면 2020년이 되고 아마 소피 김 작가님이 이 소설을 쓰기로 마음먹은 날일까요? 참고로 『주홍여우전』은 2024년에 출간되었습니다.





『주홍여우전』을 읽다 보면 실사 영화보다는 애니메이션이의 장면이 더 많이 떠올랐어요. 소설 원작 드라마, 영화가 대세긴 하지만 애니메이션 시리즈로 나오면 개요괴가 등장하는 일본 애니보다 더 멋지지 않을까 생각했어요. 드라마로 만들면 컴퓨터 그래픽 효과를 굉장히 잘 입혀주면 좋겠네요.



 가끔 아주 귀여운 설정이 있어요. 나이트클럽 바에서 소주를 마신다던가, 서울 근처의 신신시에서 부산까지 두 시간 반밖에 안 걸린다던가, 3월에 벚꽃이 핀다고 나오는데 판타지 소설이니까! 있는 그대로 읽어야 합니다. 그리고 두 주인공이 사랑에 빠지는 과정과 수사 전개가 조금 아쉬운 점이 있었지만 설화와 민담은 인과관계가 목적이 아니잖아요. 이야기가 주는 재미, 교훈과 감동에 그 방점이 있기에 즐겁게 이야기를 즐기면 됩니다. 아 그리고 YA(영 어덜트, 10대 후반을 위한 소설)이지만 쬐금 얼굴을 붉힐만한 장면도 나오니 참고하세요.



 한 가지 비밀을 공개하자면 『주홍여우전』 2권이 곧 나온다는 것입니다. 한국 번역본은 다음 책에 대한 언급이 없지만 미국에서는 벌써 예약판매를 하고 있어요. 25년 6월 3일에 <The God and the Guisin> 제목이고 표지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어요. 북폴리오에서 재빠르게 번역해서 내주실 거라 믿고 있겠습니다. 미국에서 역수입한 한국 소설을 읽으면서 K-문화의 인기를 실감했습니다. 더 많은 한국적인 이야기가 전 세계를 사로잡길 바라요.




#문장수집

이 책은 아름답고 정교한 설화를 완전하고 정확하게 알려주는 안내서는 아니라는 점입니다. 대신 새로운 변화를 통해 전통적인 이야기들을 재해석하여 전통 설화에 대한 흥미를 불러일으키고자 했습니다. 저는 종종 이야기를 바꾸어 말하는 것이 그 이야기를 되살린다고 말해 왔습니다. 또한 이야기를 바꾸어 말하려면 작가는 민담이나 설화 본연의 문화적 맥락을 이해해야 한다고도 말했습니다.
P. 7 l 작가의 말


환인은 언제나 석가가 아닌 모든 것이었다. (중략) 이런 색의 차이는 환인이 푸른 하늘을 다스리는 운명인 반면, 이승의 초록 세계가 옥황에 비해 그 지위가 낮듯 석가는 영원히 형보다 낮은 곳에 있을 운명임을 나타낸다.
P. 145


동생아, 넌 네가 '하찮다'라고 여기는 것들도 위대해지려는 갈망을 품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될 거야. 그건 신을 죽여야 충족할 수 있는 갈망이지.
P. 154 ㅣ 환인


주홍여우를 죽여. 어둑시니를 죽여. 그 대가로 이승에서 너의 형을 감면해 주마.
P. 157 ㅣ 환인


하지만 석가는 좌회전하라고 말하면 그를 향해 저속한 손짓을, 아주 대놓고는 아니지만 알아차릴 수 있을 정도로 은근슬쩍 손짓하며 얼굴을 찡그리는 하니보다 핫초코를 홀짝이며 빛나는 태양처럼 환하게 웃는, 눈을 반짝이는 하니가 훨씬 더 좋다는 것을 알게 된다.
P. 225


그러나 속임수의 바다에 홀로 있는 신이여. 겉으로 보이는 직관에 속지 않도록 조심하라. 지친 눈을 가진 자를 바라보라. 눈물짓는 눈을 가진 자를 바라보라. 그곳에서 속임수 아래 감춰진 진실을 발견하게 된다.
P. 331 ㅣ 석애리 (요정)


그리고 세상에, 그는 아름답다. 천 년 하고도 칠백 년을 살아온 그녀의 인생 중에 늘 푸른 나무 같은 눈빛과 한밤을 가둬 버린 머리색이 이렇게 완벽하게 어울리는 이는 아무도 없었다.
P. 393


그는 질투한다, 하니가 서서히 깨닫는다. 석가가 나를 선택하며 그가 보여 준 친절한 모습을 질투한다. 그의...... 사랑스러운 모습을.
P. 548


"너는 다시 태어날 거야." 석가의 숨이 거칠어진다. "내가 널 찾을게. 하니, 네가 어디로 가든지. 네가 어디에 있든지."
"석가." 그녀가 웅얼거린다. "환생이라는 선택지가 나한테는 없어."
P. 563


환인은 628년 전에 그가 그랬듯이 배신당하는 동생을 보고 싶었다. 하지만 석가는 그 여자 옆에서는 그가 알던 동생의 모습과 매우 달랐다.
P. 569



#주홍여우전 #소피김 #황성연옮김 #박주미옮김 #북폴리오 #로맨스판타지 #로맨스코미디 #장르소설 #추리극 #한국신화 #뉴어덜트 #YA #영어덜트소설 #한국계미국작가 #미국소설 #TheGodandtheGumiho #선데이타임스베스트셀러 #신화소설 #민담소설

주홍여우를 죽여. 어둑시니를 죽여. 그 대가로 이승에서 너의 형을 감면해 주마.
P. 157 ㅣ 환인 - P157

그러나 속임수의 바다에 홀로 있는 신이여. 겉으로 보이는 직관에 속지 않도록 조심하라. 지친 눈을 가진 자를 바라보라. 눈물짓는 눈을 가진 자를 바라보라. 그곳에서 속임수 아래 감춰진 진실을 발견하게 된다.
P. 331 ㅣ 석애리 (요정)
- P331

하지만 석가는 좌회전하라고 말하면 그를 향해 저속한 손짓을, 아주 대놓고는 아니지만 알아차릴 수 있을 정도로 은근슬쩍 손짓하며 얼굴을 찡그리는 하니보다 핫초코를 홀짝이며 빛나는 태양처럼 환하게 웃는, 눈을 반짝이는 하니가 훨씬 더 좋다는 것을 알게 된다.
P. 225 - P225

그리고 세상에, 그는 아름답다. 천 년 하고도 칠백 년을 살아온 그녀의 인생 중에 늘 푸른 나무 같은 눈빛과 한밤을 가둬 버린 머리색이 이렇게 완벽하게 어울리는 이는 아무도 없었다.
P. 393 - P393

이 책은 아름답고 정교한 설화를 완전하고 정확하게 알려주는 안내서는 아니라는 점입니다. 대신 새로운 변화를 통해 전통적인 이야기들을 재해석하여 전통 설화에 대한 흥미를 불러일으키고자 했습니다. 저는 종종 이야기를 바꾸어 말하는 것이 그 이야기를 되살린다고 말해 왔습니다. 또한 이야기를 바꾸어 말하려면 작가는 민담이나 설화 본연의 문화적 맥락을 이해해야 한다고도 말했습니다.
P. 7 l 작가의 말 - P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