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를 여행하는 수렵채집인을 위한 안내서 - 지나치게 새롭고 지나치게 불안한
헤더 헤잉.브렛 웨인스타인 지음, 김한영 옮김, 이정모 감수 / 와이즈베리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진화생물학자 부부가 말하는 더 나은 삶을 위한 진화생물학을 바탕으로 한 삶의 방향을 안내하는 책이다.




헤더 헤잉과 브렛 웨인스타인은 진화생물학자로서 연구를 하면서 부부간에 대화를 하면서 발견하고 깨달았던 걸 정리해 책으로 냈다. 자녀를 양육하면서 고민했던 문제부터 성선택까지 다양한 분야를 진화론적 시각에서 인간 본성을 기준으로 해답을 찾아본 것이다.







인류의 역사 전체를 놓고 봤을 때 수많은 문명의 이기를 활용한 삶은 최근의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우리는 가늠할 수 없는 아주 오랜 시간을 살아온 과거를 간과하고 있다.






흥미로웠던건 새로운 용어 WEIRD의 등장 이다. 그리고 이 용어로 책이 이미 출간 됐다. (Western 서구의 Educated 교육 수준이 높은 Intustralized 산업화된 Rich 부유한 Democratic 민주주의 국가의 앞글자만 따서 만든 용어) 이렇게 대상을 좀 더 세분화 해서 이야기하고 있기 때문에 관련 책도 궁금해졌다.



저자는 진화생물학자이면서 두 아이를 기르는 부모이기에 실질적으로 경험한 것이 많다. 저자는 여러곳으로 연구를 하면서 가족과 함께 다녔기에 자연에서 적응하고 살아가는 자녀의 모습을 직접 보고 자신들이 연구하는 것에 접목시켰다. 자신들이 연구하는 대상과 아이들을 비교하면서 공통점을 찾아내면서 이야기하는 부분이 흥미로웠다.








각 챕터 마지막에 '더 나은 삶을 위한 접근법'이 있다. 안내서란 제목에 매우 부합하는 부분이다. 인류 역사 이해를 바탕으로 우리가 간과한 부분을 짚어주고 있다.



이 책이 궁극적으로 말하고자하는 바는 예전부터 내려오는 이야기에는 이유가 있고 최근에 겪었던 것이 전체적으로 옳은 것은 아니라는 거시적인 시각을 가지라고 이야기하고 있다. 오랜 시간 해가 뜨고 지는 것에 맞춰 살던 사람이 전기와 전구의 발명으로 밤 늦게까지 인공태양을 바라보고 살면 제대로된 숙면을 할 수 없고, 놀이를 통해 사회적 규범과 규칙을 배우는 어린아이들에게 한정된 공간에서 사람이 아닌 대상과 상호작용하라고 하면 자폐진단을 받을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우리는 짧은 시간 급격하게 발전된 시대에 살면서 근시안적인 태도로 삶을 바라보고 있다. 사람의 몸을 레고처럼 조립할 수 있다고 믿게 됐고, 사회는 게임처럼 조작 가능한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저자는 우리 생각보다 훨씬 더 복잡하고 유기적인 존재란 것을 먼저 인식하고 믿음을 가지라고 말한다. 인류가 지금껏 해온것 처럼 앞으로도 해 나갈수 있다는 믿음 말이다.




가볍고 재밌는 책이라곤 말할 수 없다. 쉽게 말해주지 않고 생소한 동식물의 이름과 용어가 나와서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큰 맥락을 이해하는 차원에서 읽어볼만한 책이다.









기본적인 집단의식 - 예를 들어 한 무리의 늑대들이 협력해서 사냥할 때 공유하는 의식 - 조차도 엄청난 이득을 가져온다. 사자들도 무리를 이뤘을 땐 자부심이 개체의 총합보다 훨씬 크다. 집단의식이야말로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는 진화의 획기적 산물이자 인지적 창발성의 원천인다.

P. 38




현대에 우리가 몸을 어떻게 인식하는가는 우리가 음식을 인식하는 방식에 스며 있다. 우리 몸은 기계고, 그래서 조작하면 쉽게 복종시킬 수 있다는 생각이 음식 문화부터 섭식 장애에 이르기까지 모든 곳에서 작동한다.

P. 130




남성과 여성은 상호 보완적이며, 둘 사이에는 건강하고 본능적인 긴장감이 존재한다.

P. 227



동물은 아동기를 거치면서 환경에 대해 배운다. 따라서 아이들에게서 아동기를 빼앗으면 - 아이들의 놀이를 짜주고 시간을 정해둠으로써, 아이들을 위험과 탐험으로부터 과보호함으로써, 갖가지 화면과 알고리즘 및 안정제로 아이들을 통제하고 진정시킴으로써 - 분명 아이들은 성인이 되었을 때 그 능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할 것이다.

P. 246



오늘날 자폐스펙트럼 진단이 급증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우리가 추정하기에 이 문제는, 살아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살아 있지 않은 생명체들이 나오는 화면을 아이들이 넋을 잃고 바라보면서 자라는 현상과 관련 있다.

P. 260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자유롭게 작성하였습니다.



#21세기를여행하는수렵채집인을위한안내서 #헤더헤잉 #브렛웨인스타인 #와이즈베리 #뉴욕타임스베스트셀러 #인문서적 #진화생물학 #사피엔스 #책추천


현대에 우리가 몸을 어떻게 인식하는가는 우리가 음식을 인식하는 방식에 스며 있다. 우리 몸은 기계고, 그래서 조작하면 쉽게 복종시킬 수 있다는 생각이 음식 문화부터 섭식 장애에 이르기까지 모든 곳에서 작동한다. - P130

동물은 아동기를 거치면서 환경에 대해 배운다. 따라서 아이들에게서 아동기를 빼앗으면 - 아이들의 놀이를 짜주고 시간을 정해둠으로써, 아이들을 위험과 탐험으로부터 과보호함으로써, 갖가지 화면과 알고리즘 및 안정제로 아이들을 통제하고 진정시킴으로써 - 분명 아이들은 성인이 되었을 때 그 능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할 것이다. - P246

오늘날 자폐스펙트럼 진단이 급증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우리가 추정하기에 이 문제는, 살아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살아 있지 않은 생명체들이 나오는 화면을 아이들이 넋을 잃고 바라보면서 자라는 현상과 관련 있다. - P26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