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탉 한 마리 - 적은 돈에서 시작된 큰 성공
케이티 스미스 밀웨이 지음, 김상일 옮김, 유진 페르난데스 그림, 강명순 감수 / 키다리 / 2009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돈이 있어야 먹고 싶은 것을 사고, 예쁜 옷을 살수 있다는 것을 아이들은 잘 알고 있지만

그런 것들을 하기 위해서는 돈을 벌어야 하고,

벌어 들인 돈을 어떻게 잘 유지하고, 늘려서 하고 싶은 것도 하고,

윤택한 삶을 살수 있는것을 잘 보여 주는 그림책을 만났어요.

 

아이들이 이해하기 쉽게.. 그림책으로,,

그리고 실제 실존 인물의 실화를 바탕으로 펼쳐지는 코조의 이야기는

유아기때서 부터 길러야할 경제관념을 아이들에게 심어주기 딱 좋은 그림책었습니다.

 

티클 모아 태산이라는 우리의 속담이 있죠.

그렇게 조금씩 티클 모아 암탉 한마리에서 시작된 코조네 집은

점점 돈을 모으게 되고,,, 어려운 마을 사람들도 도우게 되는

희망과 용기를 주는 그림책이네요.

 



 

 

코조는 아프리카 가나의 작은 마을에 사는 아이예요.

코조의 집은 정말 너무 가난하지요.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가난에 힘든 생활을 하고 있었지요.

 

 

 

마을 자체가 워낙 가난하다 보니 마을 주민들이 모여 회의를 하고

아이디어를 제안했습니다.

 

마을 사람들끼리 돈을 모아서 종잣돈을 마련해... 한 집씩 돌아가면서 도와주기로요.

어떤 집은 그 돈으로 재봉틀을 사고, 어떤 집은 수레 가득 과일을 사고..

드디어 코조네 차례가 되었지요.

 

코조네 엄마는 수레를 사서 많은 장작을 시장에 내다 팔아 돈을 모으고,

빌린 돈을 갚기도 했습니다.

그렇게 모인 돈으로 코조는 암탉을 사도 된다는 엄마의 허락을 받고 암탉을 구입하게 되죠.

 



 

암탉은 알을 낳고, 계란을 시장에 내다 팔고,,

그렇게 해서 돈을 벌어 못다니던 학교도 다니게 되었고 코조는 대학에 들어가 공부도 하게

되기 시작하면서 본격적으로 양계장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은행에서 빌린 돈으로 양계자을 시작했고, 결혼도 하게 되어 가정도 꾸리게 되었지요.

코조네 농장은 일꾼들로 넘쳐났지요.

코조네 농장으로 인해 마을의 경제가 살아나기 시작했고

일꾼들의 삶에도 변화가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생활의 여유가 생기고, 특히나 농장의 가족들에게는 암탉이나 염소, 양을 사서

자신의 농장을 만들겠다는 희망이 생기게 되었답니다.

 



 

고작 암탉 한마리를 살수 있었던 적은 돈에서 시작된 것이었지만..

그 암탉이 점점 늘어나 마을의 경제가 살고 제일 잘 사는 마을과 나라 전체를 바꾸어 놓을수

있었던 희망을 보여주는 기적같은 일이 생겨났지요.

 

마을 사람들의 회의에서 시작되어 모인 작은 종잣돈이 있었기에

마을과 나라의 경제를 바꾸어 놓게 된 코조의 농장은 곧.. 그 나라 사람들에게 있어

커다란 희망이 되었습니다.

 

책을 통해 마이크로 크레디트 운동을 알수 있었어요..

무담보 소액 신용대출인 마이크로 크레디트는

1976년 방글라데시에서 처음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마이크로 크레디트 운동은 사회에서 가난을 몰아내는 운동의 모범이 되어

이후 세계각국으로 전파되었고, 우리나라에도 1999년 신나는 조합을 시작으로

민간단체가 마이크로 크레디트 활동을 해 오고 있다고 하네요..

 



 

암탉 한 마리는 희망을 보여주는 책인것 같아요.

적은 돈에서 시작된 큰 성공..

힘들지만 좌절하지 않고, 희망을 가지고 살아가야 하는 것을 보여주는 그림책으로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하는 그림책입니다.

 

책을 읽으며

경제에 대한 이야기를 아이들과 같이 나눠볼수 있는 시간이 되어서 참 좋았고,

아프리카의 생활 모습이나 아프리카 토속풍의 재미있는 그림체를 보는 재미,

그리고 '나눔'의 의미를 아이들에게 이해시키기에 좋은 그림책이었습니다.

 

암탉 한 마리 책 값의 일부는 '신나는 조합'을 통해 가난한 사람들의 자립을 돕는

종잣돈으로 사용된다고 하네요.

종잣돈으로 자립하고 생활의 여유가 생겨 모두가 웃는 사회가 되길 바래 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