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단 내 마음부터 안아주세요
윤대현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9년 4월
평점 :
언제부터인지 우리는 혼자있는 문화, 다른사람과 깊은 관계를 맺어가는것을 어려워 하고 있다.
대가족 사회에서 핵가족 사회로 변하면서 우리 주위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과거에 볼수 없던 문제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그 예로 정신질환에 대한
이야기는 과거 대 가족시대에서 관심과 보살핌으로 쉽게 치료되던 것들이 핵 가족사회로 오면서 하나둘씩 문제가 발생하는 모습을 볼수 있습니다.
이런 문제를 치료하고 어떻게 하면 나아질수 있는지 고민한책 윤대현 작가님의 "일단 내 마음부터
안아주세요"를 포스팅 하려고 합니다. 모든게 짜증나고 귀찮을 때 어떻게 힘을 낼수 있을까? 답은 찾기위한 책으로 우리가 꼭 읽어야 하는
책입니다.
책은 다양한 사례를 가지고 상담하고 어떻게 행동하면 되는지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매일
조금식 나를 더 사항하는 연급이라는 글로 어떻게 하면 우리가 행동하면 되는 이야기합니다.
나의 감정 습관을 글로 써 보기 / 조용한 곳에서 밥을 음미하며 머기 / 하루 10분 멍
때리며 걷기 / 일주일에 한 번 친구와 힐링 수다 / 나만의 뮤직 테라피 찾기 등 쉽게 할수 있는 행동에 대해 이야기 해주고 있는것을 찾을
수있습니다.
이준 저는 멍 때리면 걷기에 매우 공감합니다. 아무생각없이 달리거나 걷고 있으면 복잡했던
머리가 맑아지는 것을 느낄수 있고, 땀을 내면 몸속에 숨어 있던 나쁜 기운이 밖으로 배출되고 있는 느낌을 가질수 있습니다.
식욕조절 센터가 감성
시스템의 핵심 중추인 시상하부에 존재한다는 것이다. ...중략...식욕조절 센터는 신체적 허기 외에 심리적 허기, 고생하는 만큼 충분한 심리적
만족감을 누리고 있는가 하는 심리 보상 시스템의 신호를 함께 받는다. 신체적 허기는 채웠으나 심리적 허기가 채워지지 않았다면 배가 터지도록
부르더라도 헛헛한 느낌을 보상하기 위해 더 먹게 되는 것이다. 이는 과잉 섭취이기에 고스란히 배와 허벅지의 지방 저장고에 차곡차곡 쌓이게 된다.
page83
우리가 쉽게 하는 행동에 대해 심리적으로 분석한 글입니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많이 먹는다고
말하는 사람은 우리 주위에서 쉽게 만날수 있습니다. 이를 심리적으로 분석한것인데요. 심리적인 요소가 신체적인 부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상태를 보이고 있는 것입니다. 몸매를 날씬하게 그리고 멋지게 유지하고 만드는것은 신체적인 노력뿐아니라 심리적인 노력을 같이해야 하는것은
단편적으로 알수 있는것을 알수있습니다.
우리를 힘들게 하는것도 사람이고 회복시켜주는 것도 사람입니다. 또한 다른 사람을 생각하기
앞서 일단 내 마음부터 안아주기 시작하는것이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첫번째 방법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책 제목처럼 일단 내 마음부터 안아주는것을
시작해보도록 해야 하겠습니다.
* 이 리뷰는 서평단 모집 이벤트를 통해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