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죽음 - 살아가면서 선택할 수 있는 유일한 것에 대하여
장 아메리 지음, 김희상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죽음은 대부분의 사회에서 금기시되어 왔다.

우리는 어떻게든 죽음을 대체할 단어를 찾아 죽음을 표현한다. 

그중에서도 자살은 어떤 죽음보다 더 폄하되고, 비난받는 죽음의 방식이다. 


사고사나 사회에서 말하는 자연사의 경우 대부분은 죽은 자를 폄하하고, 깎아내리지 않는다.

하지만 자살 시도 자는 곧바로 치료해야 할 병을 가진 사람이 된다.

책은 이런 문제의식을 다루고 있다.


책 제목이기도 한 '자유 죽음'은 저자인 장 아메리가 주장하는 자살의 다른 이름이다.

(모든 자살이 자유 죽음이 되는 것은 아니지만 말이다.)

스스로를 살해한다는 뜻이 아니라 개인에게 스스로의 삶의 끝, 없음(무)을 향할 자유가 있다는 것에 대한 명칭이다.


5장으로 구성되어 있는 책은 나에게 계속해서 질문을 던지며 죽음과 자살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라 말한다. 자살자의 죽음은 현실에서 도망친 겁쟁이의 행동이자 나약한 사람의 포기가 아니라 존엄성과 자유를 가지고 죽음을 선택한 것(P.120)이지 않은가? 하며 묻는다.


이 책이 자살을 옹호하고 합리화한다는 오명에 대해서 나는 책을 천천히 다 읽고 난 뒤에 전혀 그렇지 않다고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개인마다 책을 읽고 느끼는 바가 다르듯, 자살자가 자살을 마음먹고 실행할 때 겪은 사건과 경험 그리고 그때 느끼는 감정은 자살자 외에는 아무도 정확하게 알 수 없다. 

그래서 저자는 누구보다도 자살을 논할 때 그의 마음을 들여다보아야 한다는 것을 계속해서 강조한다. 그들을 관심과 애정을 가지고 지켜보는 데 소홀함이 없어야 한다(p.265)고 말하기도 한다.

타인의 마음을 이해해보려고 노력하는 일이, 따뜻한 것이 아니라고 누가 말할 수 있을까.


또한 저자는 무엇보다 자유를 위해 결정한 죽음의 결말은 자유가 아님을 명백히 밝히고 있다.

죽음과 더불어 자유로운 삶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게 되는 순간이다.


쉬운 책은 아니었다.

아직 견문이 좁은 나에게는 책의 마지막 장을 덮을 때까지 저자가 말하는 것의 3할 정도라도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지를 스스로에게 묻게 된다.

많은 인용과 낯선 용어에 당황하며 다 읽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지만 그 시간이 헛되지 않았으며, 책과 함께 깊은 사유의 시간을 가졌음에는 후회가 없다.









전체적으로 볼 때 사회는 자살이 얼간이나 반미치광이가 저지르는 짓쯤으로 폄하한다. 단지 당사자의 닫힌 세계 안으로 사회가 들어가 볼 수 없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 P110

나는 다음과 같이 말할 자격이 있다. 너희에게는 별것 아닌 돌발 사건일 수 있다. 이를 부정하지는 않겠다. 하지만 나에게 있어 그것은 인생의 결정적 사건이다. 너무나도 결정적인 나머지 나는 나 자신에게 죽음을 선고한다. - P1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