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른을 위한 청소년의 세계
김선희 지음 / 김영사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에 티비 채널을 돌리다 보면

오은영 박사님이 출연하는 방송이 눈에 띈다.

그중에서도 ‘금쪽같은 내 새끼’라는 방송을 종종 본다.

문제를 겪고 있는 아이와 그 부모의 생활을 보고 솔루션을 제공하는 방송이다.

아이가 겪고 있는 문제는 대부분 본인의 기질과 부모의 영향을 받아 나타나고, 그것을 치료하는 과정을 지켜보며 나의 생각과 과거, 행동을 되돌아보게 되기도 한다.

뭐라 표현하기 힘들지만 같이 치료를 받는 기분이랄까.

이 책 또한 비슷한 느낌을 줄 수 있는 책이다.


책을 쓴 김선희 작가님은 27년 경력의 음악교사이시다.

교사 생활을 하시면서 겪은 경험을 통해 청소년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 어른들이 취해야 할 마음가짐과 태도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책이다.

사실 개인적으로 교사라는 직업에 대한 관심도 없고, 교육자에 대한 관심도 없다.

그럼에도 이 책을 완독한 것은, 책에 나오는 이야기들이 청소년과 어른 사이의 관계 형성에 대한 것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 사이의 관계에서 적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작가님은 책에서 충조평판(충고, 조언, 평가, 판단)을 하지 않아야 된다는 점을 계속해서 강조한다.

여유롭고 너그러운 마음으로 학생의 마음을 먼저 살피고, 공감과 조언으로 대답한다.

이런 대화 방식은 학생과 교사 사이에서뿐만 아니라 모든 관계에서 적용 가능한 이야기이다.

사람을 대하는 데 있어서 충조평판을 하지 않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는 대부분의 사람이 공감할 수 있을 것 같다.

나도 모르게 어느샌가 사람을 판단하고, 평가하고 조금만 경험이 있어도 충고하고 조언하는 것.

고쳐야 하는 걸 알면서도 잘되지 않는 행동이다.

책을 읽어나가다 보면 내 학창 시절을 떠올리게 되는데,

이렇게 따뜻하고 훌륭한 선생님이 내 주변에도 계셨다면 어땠을까 싶기도 하다.

하지만 선생이란 직업이 얼마나 매너리즘에 빠지기 쉬운지를 이해하기에 내가 겪은 선생님들을 탓할 수는 없다.


청소년 자녀를 둔 부모나 교사에 관심이 있는 분들이 읽으면 분명 큰 도움이 될 책이지만, 교육에 큰 뜻이 없어도 존중과 경청 그리고 공감의 태도는 모든 인간관계에서 적용할 수 있는 가르침이 될 것 같다.

※이 서평은 김영사 대학생 서포터즈 활동의 일환으로 김영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아이는 어른의 성과물이 아니다. 고유한 존재다. …한 아이를 구하는 일은 곧 세상을 구하는 일이기도 하다. - P12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