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레니얼 실험실 - 요즘 애들의 생각과 사는 방식
중앙일보 밀실팀 지음 / 김영사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 인스타그램에서 SNL 영상 중 일부를 자주 접한다.

특히 인턴 기자인 주기자의 영상이 큰 화제를 모았다. 떨리는 목소리와 당황한 눈빛, 버벅대는 말이 사회초년생, 즉 밀레니얼 세대의 모습을 너무 흡사하게 연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나도 어디선가 저런 발표를 들었던 것 같은...



뉴스나 예능, 어디서든 MZ세대라는 표현을 흔하게 볼 수 있다.

우리는 요즘 애들의 줄임말과 유행어, 소비습관, 투자 등의 키워드와 함께 밀레니얼 세대의 삶을 들여다본다.

이번에 읽은 <밀레니얼 실험실>은 지금까지 마케팅의 대상으로 MZ세대, 밀레니얼 세대를 다룬 다른 매체와 달리 '진짜' 밀레니얼 세대의 다양한 사람들을 중앙일보의 밀레니얼 세대의 기자들이 직접 취재하여 쓴 책이다.


다른 매체가 다루는 밀레니얼 세대의 이야기에서 벗어난, 주목받지 못하는 밀레니얼 세대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으려는 노력이 느껴졌다.

흔히 밀레니얼 세대와 MZ세대라는 말을 혼용해서 사용하지만 두 단어의 의미는 조금 다르다. 밀레니얼 세대는 1980년대 초반 ~2000년대 초반에 출생한 세대를 가리키는 말이고, MZ세대는 밀레니얼 시대인 M과 1990년대 중반~2000년대 초반에 출생한 Z세대를 합친 단어다.


4개의 파트로 이루어진 이 책은 젠더 갈등, 채식주의자, 동성 커플 등의 조금은 예민할 수 있는 주제부터 자퇴를 하거나 돈이 없어 밥을 굶는, 혹은 히키코모리가 된 소외된 밀레니얼 세대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밀레니얼 세대조차 잘 모르는 밀레니얼 세대의 이야기를 접할 수 있는 글들이 많았다.

자신을 위한 소비를 중요시하는 밀레니얼 세대의 이야기의 뒤에는 밥 한 끼조차 제대로 먹지 못하는 사람들이 있었고, 코인과 주식에 영혼을 끌어 투자하는 사람들의 이야기 뒤에는 없는 시간에도 투자 공부를 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세대 간의 갈등을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들 하지만 책을 읽으며 세대와 상관없이 그저 사람에 대한 존중과 이해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서로 다른 삶의 방식을 존중하고 이해하는 것을 굳이 '세대'라는 말로 구분 지을 필요가 있을까.


가볍게 술술 넘어가는 책장과 달리 머릿속에서는 여러 가지 고민과 생각이 스쳐 지나간다.

나의 포용력은 어디까지 인가, 어쩌면 내 주변에 있는 사람들의 문제일지도 모르는 것들에 나는 어떤 견해를 가지고 있는가.

다양한 삶의 방식을 접하고 고민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는 책이었다.



이 서평은 김영사 대학생 서포터즈 활동의 일환으로 김영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우리는 공기처럼 주변에 묵묵히 살아가는 20대들의 삶을 들춰보고자 했다. 이런 삶의 궤적들이 밀레니얼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주리라 믿었다. - P0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