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에서 아이디어를 얻다 - 생각이 술술 풀리는 46편의 초간단 생각 창조법
황인원 지음 / 흐름출판 / 2010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조지 레이코프의 '삶으로서의 은유'란 책을 보면, 인간은 은유로 산다!

도가처럼 은유없이 사물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판단하는 것은 사실 어려운 일이다.

이 책은 시작법과 인간의 생각사이에 접점을 만든다.
구매할 때는 그다지 기대 하지 않았는데, 직접 읽고 보니 잡스의 말이 맞구나 하는 느김이 절로 든다. 

ps.  밑의 그림을 클릭하면 커집니다. 


요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의 메모 달인들 - 14인 메모광들의 성공신화
최효찬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0년 2월
평점 :
품절


성공 비결에 대해 너무 많은 책들이 나오고 있다.

그것은 아마도 성공이 쉽지않다는 것과 성공이 그만큼 소중하다는 의미이리라.

그렇다면, 돈 안들고 성공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인가??

이 책의 저자는 다름 아닌 '메모'라고 강력하게 주장한다.
구관이 명관이라는 말이다.
 

메모라는 말은 중세후반에 마음으로 옮겨진 중요한 것이란 의미를 가진 라틴말 memorare에서
왔으며, 원래는 미래에 참고할 목적으로 쓴 기록, 또는 나중에 기억하기 위해 노트의 머릿쪽에
놓은 형용사였다고 한다.

이 책은 1부에서 메모가 가진 장점을 열거하고 2부에선 메모로 성공한 유명인사들의
메모법을 요약정리해 준다.

중요한 것은 메모를 재활용하는데 있다! -> 이것이 메모의 유용성이다.

나도 메모를 하는 편이지만, 이 책의 인사처럼 하지는 못했다.

그래, 일단 적고 봐~ 나도 할 수 있어! 


요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예수 평전 - ‘진리’라 불리던 사악한 사제가 예수였을까?
조철수 지음 / 김영사 / 201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수는 기독교를 창시한 적이 없다.
이것이 역사의 진실이다. (기독교는 사도 바울이 실질적인 창시자이다.) 

조철수씨의 예수 평전은 근동지역의 고고학적 성과와 사해문헌등을 참고하여 
최대한 당시 유대사회라는 테두리내에서 역사적 예수를 복원한다.

평전이기에 예수의 주요 비유가 다 나온다.

가라지의 비유나 포도밭 비유등등...

유대교의 맥락속에선 쉽게 이해되지만, 유대교의 맥락밖에서는 도저히 이해가 안가는 비유들에 대해 아주 명쾌하게 해명한다.

단지, 비종교인이 볼 때 부활에 대해서는 좀 어정쩡하게 표현하는 것 같다.

물론 이해 안가는 것도 아니지만....

이 책의 나머지 장은 기독교가 분리해 나간 후 유대교의 변화를 간략히 다룬다.
-> 유대교는 토라 공부로 구원을 얻는 '책의 종교'로 변신하여 지금까지 살아남았다.

유대인들이 자기 민족신을 지극히 받들었지만, 받드는 만큼 남의 종교를 무시했다.

과연 그들이 세상을 수용할 수 있는 도량이 있다 말할 수 있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크릿 두 번째 이야기
폴 해링턴 지음, 장정운 옮김 / 살림 / 201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원제는 the secret to teen power이다.
내 실력안에서 번역하자면, 10대 파워를 위한 시크릿 정도로 번역한다.

시크릿에 대한 호불오는 굳이 가리지 않는다.

내가 문제 삼는 것은 시크릿의 내용이 아니라, 출판사의 의도다.

예약구매를 해서 온 즉시 읽어보았다.
내용인즉, 시크릿을 청소년들에게 친절하게 설명해주면서 자아성취하는 인물이 되라는 것이다.

굳이 시크릿의 두번째 이야기라 제목을 붙일 이유가 있었는지.....

아마 전작의 영향력을 이어가려는 의도로 밖에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세오경 미드라쉬의 랍비들의 설교
게르숀 슈바르츠.마이클 카츠 지음, 이환진 옮김 / 한국기독교연구소 / 2008년 11월
평점 :
품절


유대인의 우수성은 어디에서 나올까? 
사실 여러 분석이 있지만, 나 개인적으로는 바로 이 책에 그 비밀을 풀 단서가 있다고 생각된다.

텍스트에 대한 철저한 이해와 토론을 거친 주석이 주는 힘! 


토라를 읽고 해석하는 법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