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잘가요 언덕
차인표 지음, 김재홍 그림 / 살림 / 2009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잘가요 언덕은 우리 민족의 아픈 과거를 어루만져 용서와 화해의 시간 속으로 떠나보내는 일종의 상징적 공간이다.”
- 이어령(문학평론가)
위안부 할머니들의 이야기를 담은 동화 같은 소설, 자원봉사와 나눔에 앞장서 활동하고 있는 차인표씨가 쓴 글이라는 소리에 주저 없이 책을 선택했다. 책을 처음 들었을 때 책에서 말하는 호랑이와 엄마별, 잘가요 언덕이 할머니들의 아픔을 표현함에 있어 어떤 공간이며 상징적 표현일지 궁금했다.
평화롭고, 정감 있는 호랑이마을의 이야기는 남에게 피해주지 않고 평화롭게 살아가는 우리 민족의 삶을 보여주듯 평범하고 평화롭게 보여주고 있었다.
오랜 옛날에 호랑이와 사람은 서로를 도우며 살아가는 존재였으나 어느 날 사냥으로 서로를 공격하면서 무서운 동물과 사냥꾼 인간으로 변했다고 한다.
호랑이 마을로 찾아오는 사냥꾼들은 어쩌면 외세의 힘을 끌어다 나라 안의 위협을 없애려던 조정의 행동을 묘사하는지도 모른다.
이 책을 읽다보면 어느새 눈시울이 붉어지고 마음 한켠이 아려오면서도 시원한 느낌이 들 것이다. 책의 주인공은 바로 훈 할머니. 훈 할머니의 고향인 호랑이 마을이 바로 이 소설의 무대이자 분노와 상처를 치유하고 용서하는 장소이기도 하다.
책의 마지막페이지까지 읽으며 눈물이 날 정도로 슬픈 장면은 나타나지 않았다. 아름다운 풍경의 평범한 사람들의 모습을 보고, 양심과 죄책감에 괴로워하는 일본인 군인의 입장에서도 생각해 볼 수 있었고, 사랑하는 사람을 지키기 위해 목숨을 바치는 용이의 마음도 되어본다. 날이 추워져도 남쪽으로 떠나지 않고 묵묵히 그들을 지켜보며 마음 아파하던 제비 녀석처럼 책을 읽는 내내 그들의 곁에서 묵묵히 바라만 보고 있었다. 그리고 마지막 순이가 고통과 아픔을 이겨내고 다시 호랑이 마을로 찾아왔을 때 결국 눈물을 흘리고 말았다.
이 책이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지, 할머니들이 당한 치욕과 고통의 시간보다 더 소중한 그 무엇이 있음을 깨달았다. 그리고 차인표씨가 적은 후기에서 조금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었다.
“용서는 백호가 용서를 빌기 때문에 하는 게 아니라 엄마별 때문에 하는 거야. 엄마별이 너무 보고 싶으니까. 엄마가 너무 소중하니까.”
한쪽 다리가 잘리면서까지 목숨을 걸고 순이를 구하려는 용이의 모습은 우리 할아버지 세대의 마음일지도 모른다. 나약한 국력에 힘없는 아이와 여자들이 당해야 했던 그 치욕. 지켜주지 못한 그들의 아픔이 용이를 통해 분출되었는지 모른다.
용서와 화해의 시간들, 할머니들이 바라는 것은 ‘너희도 똑같이 당해 봐라’가 아니다. 한 평생을 고통과 두려움의 시간을 보냈을 그들에게 자신들이 당한 고통이 잘못된 것이며 사죄 받고 싶은 마음일 것이다.
아직도 이 책에서 말하는 용서의 진정한 의미를 이해하지 못했지만, 이미 엄마별 곁으로 떠나신 할머니들이 한과 고통을 엄마별 곁에까지 가져가지 마시고, 모든 걸 다 용서하고 마음 편하게 떠나셨길 바라는 마음뿐이다. 그곳에서는 고통도 아픔도 없이 언제나 웃으시길 바라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