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탐욕의 시대 - 누가 세계를 더 가난하게 만드는가?
장 지글러 지음, 양영란 옮김 / 갈라파고스 / 2008년 12월
평점 :
우리나라에서 기아, 굶주림이란 단어는 이미 오래전 옛날 얘기가 되었다고 한다. 누구나 그렇게 느낀다. 힘겨운 보릿고개는 부모님 세대의 고난한 한 징표일 뿐 지금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더이상 어떤 감흥을 주지 못하는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과연 그럴까? 우리는 과연 기아의 고통과 두려움에서 온전히 벗어났을까?
범위를 좀 더 넓혀보면 어떨까? 120억명의 인구가 먹고도 남을 만큼의 식량이 과잉 생산되는 시대라면서 지구상에서 하루에 10만명이, 무려 5초에 한명씩의 어린이가 굶주림으로 죽어가고 있다는 믿기지 않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엄연한 사실이다. 당장 내가 굶지 않고, 내 주위에서 배고픔으로 고통받는 사람이 눈에 띄지 않으니 우리는 그 문제에 굳이 관심을 갖지 않을 뿐이다.
지난 2000년부터 2008년까지 유엔 식량특별조사관으로 활동했던 장 지글러는 그의 책 '탐욕의 시대'를 통해 누가 더 세계를 가난하게 만드는가에 대해 얘기하고 있다. 그는 IMF, IBRD, WTO와 같은 국제기구, 거대 다국적 민간기업 등 자본세력을 '신흥 봉건제후'들로 칭하며 탐욕의 시대를 초래한 주범으로 지목하고 있다.
그의 주장은 '나쁜 사마리아인들', '그들이 말하지 않는 23가지' 등의 책을 통해 장하준 박사가 주장해 온 신자유주의의 폐해와 그 궤를 같이 하고 있다. 순전히 운이 좋아 상대적으로 윤택한 북반구의 어느 나라에 태어난 우리들은, 그저 운이 나빠 기아가 만연한 남반구 아프리카 땅에 태어난 어느 누군가에게 빚을 지고 있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왜 어떤 나라는 풍요로운 반면 어떤 나라는 사람들이 굶주려 길거리에서 죽어가야 하는 지를 장 지글러는 자세한 예를 들면서 설명하고 있다. 그는 부채를 추악한 악성 종양, 기아를 부조리와 파렴치의 극치라 얘기한다. 무엇이 가난한 자들을 부채와 기아의 깊은 수렁에 허덕이게 하는 지 궁금하다면 이 책을 읽어보아야 한다/
지금 당장 굶주림으로 고통받고 있지 않다는 것에 위안을 느끼며 지구 반대편의 고통을 외면한다면, 그래서 약육강식의 논리가 지배하는 지구 생태계의 정글 속에서 안주한다면 우리 또한 언젠가 '탐욕의 시대'의 피해자가 되어 절규하게 될 지도 모를 일이다. 가장 기본적인 인간의 권리가 자본 논리 앞에 무너지고 있는 것을 우리는 눈앞에서 지금도 보고 있다.
- 다섯 살 미만의 어린이들 중에서 1천만 명 이상이 해마다 영양 결핍이나 각종 전염병, 오염된 식수, 비위생적인 환경 때문에 목숨을 잃는다.
- 오늘날 지구상에는 12억이 넘는 인구가 하루에 1달러도 안되는 수입에 의존하여 삶을 영위하는 극도의 빈곤에 처해 있다. 반면에 가장 부유한 1퍼센트의 인구는 가장 가난한 인구 57퍼센트의 수입을 모두 합한 액수의 돈을 번다.
- 성인 8억 5천만명이 문맹이며, 학령기 아동 중에서 3억 2,500만 명은 학교에 갈 수 있는 가능성이 전혀 없다.
- 치료 가능한 질병으로 목숨을 잃는 사람이 1,200만 명에 달하며, 이들은 대부분 남반구에 살고 있다.
- 지금으로부터 40년 전, 만성적인 영양실조로 고생하는 사람은 4억 명이었으나, 현재는 8억 4,200만 명으로 늘어났다.
위의 통계는 '탐욕의 시대'의 현실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장 지글러는 우리가 지금껏 몰랐거나, 혹은 알면서도 모른 척 아무런 행동도 하지 않고 있는 것들이 무엇인지 다시금 깨우쳐 주려 하고 있다. 그는 역사의 유일한 주체가 있다면 그것은 바로 인간이라고 했다. 세계화 지상주의자들의 무자비한 폭력에 맞설 수 있는 유일한 무기 역시 바로 인간이라는 생각이 든다.
이마누엘 칸트가 얘기했던 바로 그 "온전한 삶에 대한 권리, 인간이 인간이라는 단순한 사실 하나만으로 인간에게 속하는 권리"를 스스로 지키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지금 필요한 것은 거창한 구호가 아니라 그 기본적인 가치를 지켜가기 위한 명확한 인식과 그 토대 위에서의 작은 실천들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