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낯선 사람 - 낯선 도시를 사랑하게 만든 낯선 사람들
김은지 지음 / 이름서재 / 2025년 1월
평점 :
"본 도서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개인적인 감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표지 전면엔 “낯선”이라는 글자만 보인다. 분명 제목이 “낯선 사람”이였는데…그리고 다시 보니 표지에 사람이 보인다.
아.. 오 새롭다!
이 책은 저자가 12년전 했던 여행에 대한 기록이자, 그곳에서 만났던 사람들에 대한 기억이다.
“낯선”이라는 단어가 주는 경계심이 책을 읽다 보면.. 스르르.. 없어지는 책이다. 오홋!
어찌어찌 떠나게된 유럽 국가들을 돌며 저자는 프로젝트를 시작한다. 이름하야 ‘러브 프로젝트’. 그리고 낯선 곳에서 낯선 이들에게 질문을 하며 노트를 내민다. “Love is() ”라고 쓰여진...
와. 용감하다.
낯선 나라 낯선 언어로 네이티브에게 질문을 한다?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일지에 대한 정보도 전혀 없이. 어쩌면 20대만이 할 수 있는 조금은 무모한 도전이였지만, 낯선 도시의 사람들은 이방인의 용기에 기꺼이 응해준다. 어떤 이는 ‘낯선사람을 절대 믿지 말라‘며, 자신은 믿어도 된다는 이상(?)한 소리를 하기도 하고,,, ㅎㅎㅎㅎ 실제 진짜 이상한 사람들도 만났다고 쓰여져 있지만,,,, 저자의 글과 사진은 전~혀 다른 느낌인 것을 보면,,
결국 여행은 고되고 힘들었던 기억도 다 미화되어 남는 건가...싶기도 했다. 물론 그런 사람들보다 기숙사에서 따뜻한 밥을 차려준 친구, 무턱대고 찍는 사진에 포즈를 취해주던 빵 먹는 할머니, 미술관에 들어갈 돈이 부족한 그녀에게 기꺼이 잔돈을 내어준 이와 같이 좋은 사람을 더~더 ~많이 만났기 때문이겠지만…
오랜만에 보는 필름 카메라의 사진은 DSLR같이 정교함은 없지만, 우리 기억 속의 흐린 듯 또렷한 어떤 기억과 같은 느낌을 준다. 기억은 언제나 부분 부분 뭉게져 느낌만을 기억나게 하니까. 그래서 이 책에 등장하는 사람들의 웃는 모습은 그 사람의 외모를 보게 하기 보단 그 때의 그 따스한 분위기가 느껴진다.
어쩌면 그것은 이미 지나버린 용기 가득해 떠났던 여행을 바라보는 나의 시선이기도 했고, 그 사진 속에서 웃고 있었던 그 이들의 행복이기도 했다.
여행은 낯선 곳에서 낯선 이들을 만나는 굉장히 피곤한 일임에도 우리가 늘 일상을 떠나 여행을 가는 이유 중 하나는 분명 사람일 것이다. 새로움을 보고 느끼기 위함 이기도 하지만, 그 안의 사람을 배제하고 장소만이 여행의 전부는 아니니까. 사실 장소 역시 사람이 만들어낸 부산물이 아닌가.
20년째 그 자리에서 그림을 그리는 아저씨는 그녀에게 “컬러”가 생각난다며 모든 경험이 구슬처럼 꿰어지듯 살라며, 언젠가는 그렇게 만들어진 목걸이가 너무나 아름다울 것이라 했다는데, 12년이 지나도 그 말을 기억하는 것을 보니, 역시 그녀 인생에 러브 프로젝트는 가장 아름다운 컬러 중 하나가 아니 였을까 싶은 부러움이 드는 책.
낯선 이라는 말 뒤에 있는 사람.
낯선 이라는 단어가 새삼 다른 느낌으로 다가오는 책.
아.
나도 떠나고 싶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