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크라테스 씨, 나는 잘 살고 있는 걸까요? - 생각의 동반자, 소크라테스와 함께하는 철학 수업
허유선 지음 / 믹스커피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양철학의 디딤돌을 꼽으라면 의레희 그리스의 세인물 소크라테스와 그의 제자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를 들수가 있다.

사람들은 저마다 쳇바퀴처럼 반복되는 바쁜나날을 분주히 살아가는 가운데서도 사람이 살아가는 시대적문물과 사회적환경은 다를지라도, 무엇으로 어떻게?, 왜?,정말?,과 같은 의구심들과 같은 꼬리를 품은채 삶에 대한 존재의 이유에 대한 개념을 비록 학문적인 체계는 아닐지라도 인간의 정신세계로 삶의 중심에 자리매김하고자 철학이라는 이름으로 소크라테스씨에게 접하고자하는 글이었다.

물론 인간처럼 의식을 소유한 생명체중에서 미쳐 깨닫지못한 사상과 철학의 모티브를 제공함으로 인간의 욕구를 내려놓고 결박이나 장애로부터 벗어나 궁극적으로 자유함을 누리고자 하는것은 결코 쉬운것이 아니다.

흔히 묻거나 대답하는 말중 하나가 "잘 살고 계시나요?""잘 살아야해" 혹은 ""잘살고 있다"...인데 무엇이 잘사는 것인지 반문하며 되새겨보게 하는 시간이었다.

결코 잘먹고 잘입고 잘자는것이 잘사는것의 전부를 뜻하는게 아님을 사람의 가장 밑바닦에 깔려있는 무의식은 죄의식으로 부터 인함이기에 소크라테스는 진정한 자아는 진리와 선에 관한 지식에 달려 있음에 어떠한 방법으로 영위하느냐에 따라 삶의 근본적인 현장상태가 달라질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이책처럼 소크라테스와 대화자 가운데서의 토론하는중 의식의 세계를 깨우치게 하는 글들이 소크라테스가 직접 글귀를 남기지 않았음에도 그의 이름은 수천년이 지난 오늘날 종교,인종,문화를 불문하고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자연을 대상으로 철학의 관심을 갖던것이 소크라테스 등장이후 인간영혼,인간의 본성과 윤리적문제로 플라톤을 통하여 오늘날 전해받을수 있었다.

소크라테스철학,서양철학의 이해를 내가 소크라테스를 마주보고 대화하며 평상시 궁금했던것들을 해결책을 정리하면서 핵심내용까지 서술되어 있었다.

철학의 시작,소크라테스는 누구?,소크라테스처럼 생각하기,소크라테스의 논증적사고기술,소크라테스나 나의 철학,철학은 생각만이 아니고 나의 삶속에서 철학하기와 같이 총7장에 걸쳐서 각장마다 문제의식을 테마별로 정하여 이해할수 있게해주는 서적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