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영화 최고의 10경>을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한국영화 최고의 10경 - 영화평론가 김소영이 발견한
김소영 지음 / 현실문화 / 201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씨네 21>에 나오는 김소영의 글을 좋아한다. 영화와 대중문화를 현실정치에 버무려 쓴 그녀의
글을 읽다보면 통쾌해질 때가 많다. 그녀의 글은 씨네의 기자로, 글잘쓰기로 이름난 백은하 나 김혜리
와 버금가는 또다른 개성있는 글이라 생각한다.

학술적 평론과 대중적 리뷰의 혼재

<한국영화 최고의 10경>이 배달되었을 때, 내심 좋아라 했다. 하지만 책의 제목이나 내용은 학술적이
어서 쉽게 읽혀지지 않았다. <반도의 봄>, <열녀문>, <귀로>등 낯선 이름들과 옛날 배우의 이름이 생
소하기만하다. <괴물>,<빈집>, <강원도의 힘>등 익숙한 영화들이 나왔을 때야 겨우, 편안하게 책에
몰입할 수 있었다.

영화리뷰 모음집이거나, 일반적으로 알려진 영화를 대상으로 쓴 글일 거라 생각했는데, 영화사적으로
의미있는 감독의 작품들, 우리영화에 족적을 남긴 영화를 대상으로 한 글이 대부분이다. 학술적 영화
평론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 혹시 김소영씨가 학위논문 통과를 위해 썼던 글이 아닐까? 대중에게 다가
가고 대중을 설득하려는 '커뮤니케이션'의 방식보다는 본인이 어떻게 생각하는 지에대한 정리에 더 힘
이 실려있는 것 같다. 그러니 영화학도가 아닌 사람에겐  지루한 선생님의 강의 같은 부분이 있다.

좋은 편집자를 만났더라면 혹은 작가가 유연했다면 

출판일에 관심이 있는 사람으로서, 충분히 좋은 재료를 갖고 잘 만들지못한 책 앞에선 '만약에'라는 단서
를 붙여 새로 만들고 싶어진다. 혹은 독자로서 더 좋은 책을 보고자하는 욕망에서 이런 저런 생각을 하게
된다.

첫째, 학술적으로 다룬 옛날 영화는 글의 서두마다 간략한 줄거리를 소개했더라면 어떨까.  

둘째, 10경이라고 했는데, 조금더 구체적인 의미를 달아보면 어떨까. 첫번째 '경'은  '경계의 경관'이라 이
름 했는데 좀더 쉬운 이름이었어도 됐다. '떠도는 이방인'에 대한 영화인데, 그에 맞는 이름이면 족하지 않
을까. 두번째 '경'은 '근대의 원초경'이라고 이름했는데, 역시나 어렵다.

세째, 학술적인 표현으로 이어지는 영화평론집이라면 차라리 시대연대기로 이어가면 좋지 않았을까. 그러면
읽는 사람이 덜 힘들었을텐데. 2006년 영화- 옛날영화- 다시 홍상수,김기덕 - 팜므파탈 도금봉 이렇게 이어지
는 책의 흐름은 왜 그런지 잘 모르겠다. 10경 자체가 그다지 명확하게 와닿지 않는데, 시대순마저 이렇게 이어
지니 어렵기만하다.

네째, 가장 '으악'한 것은 표지다. 요즘 책의 표지 디자인은 날마다 새로워지고 있다. 책표지 디자인 자체가 예술
이다 싶은 책이 많다. 이 책은 영화를 논하는 책이다. 보다 미학적으로 만들어졌어야 하는 책인데, 그 무지개빛
현란함이라니!  김소영의 이름값과, 현실문화라는 출판사의 이름이 무색해진다.
그리고 무엇보다 내가 편집자라면, 책 제목과 중간 섹션제목은 꼭 다시 달고야 말겠다.  


책을 낸다는 것은 논문을 쓴다는 것과는 다른 차원일 것이다. 논문은 학교 안에서 보는 것이고, 연구자들이 보는
것이니까. 책을 이세상에 내놓다는 것은 대중과 호흡하겠다는 생각에서 출발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한번쯤은
대중의 눈높이를 생각하자. 

아쉽다. 분명히 좀더 잘할 수 있었다. 글쓴이도, 출판사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