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상가·건물에 어떤 업종이 적합할까? - 상가 공실 해소 전략
박균우 지음 / 두드림미디어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는 25년 동안 현장 상권 분석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다.

병의원, 치과, 한의원 개원 상권 분석 컨설팅, 기업의 지점 설치와 상가 시행사 MD 구성 자문, 상가 투자자, 소상공인 창업에 대한 컨설팅을 하고 있다.

이 책은 상업용 부동산 시장 조사와 MD 구성 노하우가 많은 대기업 건설사나 시행사가 주도하는 대규모 상업용 건물 MD 구성을 염두에 두고 쓴 책은 아니다. 우리가 흔히 접하는 상권과 신도시의 상가, 구분 상가에 어떤 업종을 유치할 때 건물과 상가의 가치가 상승할 것인지를 염두에 두고 썼다.

이 책은 상가 시행을 준비하는 개인, 법인과 상가를 소유하거나, 매수를 염두에 둔 분, 구분사악에 투자한 분들을 대상으로 어떤 업종을 유치하는 것이 좋을지에 대한 사례와 내용이 있다.

또한 점포형 창업을 준비하는 분, 프랜차이즈 본사, 관련 컨설팅을 하는 분에게도 상권과 상가에 대한 인사이트를 줄 수 있을 것이다.

 

 

상권 조사가 필요한 이유는 상가 투자나 자영업 창업을 하는 경우 상권이 어떤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지 정확히 분석해야만 실패하지 않기 때문이다. 임대 수익을 목적으로 취득하거나, 신축한 상가에 있어서도 매수나 신축 준비 단계에서 상권 조사에 따라서 어떤 업종, 아이템을 유치할지 결정할 때 성공적 투자가 가능하다. 분양 상가에 있어서도 시행사는 상가의 어떤 점이 경쟁력이 있는지 상가 투자자나, 선임대를 위한 프랜차이즈 본사에 프로모션할 수 있어야 최종 목표인 완판을 이룰 수 있다.

상권 조사진행 과정을 총 8단계로 나눠볼 수 있다.

1단계 - 도시의 전체적인 윤곽과 도시계획확인

2단계 - 도시의 상권 구조 분석

3단계 - 인구 세대수 평가

4단계 - 교통 및 집객, 지형 분석

5단계 - 상가 분석

6단계 - 경제 사회적 환경 분석

7단계 - 상가활성화 전략 및 대출 조건 검토

8단계 - 수익성과 위험 분산

타깃 고객들의 소비는 어떻게 이뤄지나.

업종, 브랜드의 후보군이 많아질수록 상가의 대체성이 증가해 상가의 경쟁력은 높아지고 활성화될 가능성이 커진다. 업종, 브랜드 분석, 타깃 고객 설정의 방법은 일반적인 보도문이나 기사문을 작성할 때 많이 사용하는 육하원칙을 적용해 정리해보자.

  1. WHO(누가?) - 타깃 고객, 핵심 고객은?

  2. WHEN(언제?) - 주력 소비 요일? 시간대는?

  3. WHERE(어디에서?) - 상권 범위와 입지 범위에 대한 정보?

  4. WHAT(무엇을?) - 상품에 대한 정보?

  5. HOW(어떻게?) - 소비의 방법

  6. WHY(왜?) - 소비의 목적은 무엇인가?

적절한 업종 구성과 좋은 임차인은 부동산의 가치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이 책은 내 상가에 어떤 점포를 유치하는 게 최선일까를 알려준다. 상권 조사와 건물주, 임차인의 실제 니즈를 반영한 생생한 업종 분석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상가 투자나 상가에서 창업을 하는 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거 같다.

* 이 책은 증정받은 도서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