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친 성장 - 토스 제1호 조직문화 담당자가 전하는 생존을 넘어 성공하는 조직의 비밀
김형진 지음 / 푸른숲 / 202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친 성장

김형진

푸른숲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매일 아침 지옥철을 뚫고 출근하며 과연 나는 성장하고 있는가라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질 때가 많았다. 보고를 위한 보고서, 의미없는 회의가 반복되는 일상 속에서 성과라는 단어는 멀게만 느껴졌다. 실리콘밸리에서 유행한다는 수평 문화, 자율과 책임 같은 멋진 말들을 도입하려 애쓰지만, 현실은 그저 혼란 뿐이었다.

<미친 성장>은 토스가 어떻게 유니콘이 되고 수많은 사용자를 확보했는지 그 비밀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저자가 말하는 비밀은 바로 조직문화 였다. 토스의 1호 조직문화 담당자였던 저자는 문화가 단순한 복지나 분위기가 아니라 성과를 가져다주는 전략이라고 말한다.


핵심가치는 성과를 만들어내기 위한 조직의 방정식이다.

본문 중에서

성과를 내는 조식은 애초에 문화를 설계하는 접근법부터가 다르다는 것이다. 저자는 원칙없는 자율을 기대해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 나 역시 이 말에 공감이 됐다. 후배 사원들이 원하는 것은 무조건적인 자유가 아니라 명확함이라는 저자의 분석이 나의 경험과도 일치했다.

무작정 실리콘밸리를 따라할 것이 아니라 우리 조직에 맞는 명확한 원칙을 세우는 것이 성장의 첫걸음이라는 사실을 절감할 수 있었다. 넷플릭스조차 '규칙 없음'에서 '규칙 있음'으로 문화를 수정했다는 사례는 충격적이었다. 이것을 보면 문화란 한번 정하면 끝나는 것이 아니라 시장과 조직의 상황에 맞게 계속해서 유연하게 설계하고 대응해야 하는 영역임을 알 수 있었다.

팀장에게 가장 도전적인 상황 중 하나는 구성원에게 불이익한 변화에 대해 설득하는 것이다.

본문중에서

뛰어난 동료가 번아웃으로 퇴사하고, 때로는 조직의 성장을 가로막는 구성원 때문에 팀 전체의 사기가 꺾이는 경험은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겪어봤을 것이다. <미친 성장>에서는 인재가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해 설명한다. 아무리 면접을 정교하게 설계해도 채용의 정확도는 50%를 넘기 어렵다고 한다.

회사나 팀에서는 우리가 높여줄 수 있는 동기의 종류가 무엇인지 인지해야 한다.

본문 중에서

중요한 것은 저성과자를 어떻게 개선시키고, 때로는 어떻게 잘 이별할 것인가가 중요한 것이다. 떠나는 사람을 어떻게 대우하는지가 남은 사람들에게 강력한 메시지를 준다. 또한 채용 단계에서부터 지원자의 역량뿐만 아니라 어떤 동기를 채워줄 수 있는지를 냉정하게 판단하는 것도 중요하다.

토스라는 유니콘 기업을 보면서 한국의 현실에 맞는 조직 문화를 치열하게 고민하고 설계하여 어떻게 '미친 성장'을 이를 수 있는지 알 수 있었다.

#미친성장 #김형진 #토스 #토스조직문화 #조직문화 #성과관리 #핵심가치 #리더십 #인재밀도 #경영전략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